■ 공모전 주제 : 남산 힐튼호텔, 모두를 위한 가치 Namsan Hilton Hotel, Value for Everyone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심사총평 : 남산 힐튼호텔, 보존과 활용의 지혜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과 (사)새건축사협의회는 “남산 힐튼호텔, 모두를 위한 가치”를 주제로 2022 근대도시건축공모전을 개최하였다. 올해의 주제는 근대가 아닌 현대건축의 유산을 대상으로 하며, 그 대상이 한국현대건축의 중요한 유산임에도 불구하고, 곧 철거 재개발의 위기에 놓여있다는 상황이 이전의 공모전들과 구별된다. 현대의 ’건축자산’은 원형의 보존보다는 가치 있는 부분을 보존하면서 새로운 가치와 활용을 모색한다는 적극적인 개념을 포함한다. 공모는 참가자들에게서 ‘보존과 활용’ 사이에 집단의 지혜를 구하고자 함이다. 결과적으로는 우열을 가리지만 경쟁보다는 참여의 의미가 더 크다. 참가자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관점의 창조적인 해법들은 남산 힐튼호텔의 보존을 위한 도시건축분야의 노력에 중요한 기반이 되어줄 것이다. 공모전에는 216팀이 참여하여, 최종 108팀이 제출하였다. 심사위원회는 이틀간의 면밀한 심사과정을 통해 대상 2점, 특별상 1점, 우수상 2점, 특선 8점, 입선 17점을 포함 총 30작품을 선정하였다. 심사 초기 단계에는 토론과 투표를 통해 다수표를 우선해 작품을 선정했다. 한편, 소수의 표를 받았거나 표를 받지 못한 경우에도 리뷰 과정을 통해 상위 입상작으로 올리기도 하고, 반대로 무난한 특성으로 인해 다수표를 받은 경우를 재평가해 순위를 내리기도 하였다. 상위작의 심사는 충분한 토론을 통해, 만장일치에 이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대상1(문화재청장상) ‘남산 힐튼스퀘어 8322‘은 기존 힐튼호텔과 아트리움을 보존하면서 과제의 복합적인 요구를 높은 수준의 성취로 완성했다. 굴절을 이루며 호텔과 나란히 배치된 주동은 밀도의 문제를 포함한 도시적, 건축적, 프로그램적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한다. 대상2(국토부장관상) ‘힐튼호텔, 맞댐의 관계‘는 서울역에서 양동지구와 남산을 흐름을 잇는 가장 강력한 해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축을 따라 공공공간의 프로그램을 조경적 또는 건축적 해법을 통해 섬세하게 구현하고 있다. 남대문경찰서의 이전은 의미 있는 제안이다. 특별상 ’시대교감 ; 과거를 나누고 현재를 더하다.‘는 보존과 활용에서 기존 힐튼호텔의 건축 요소를 해체하고 재구성 하는 건축적인 해법에 집중했다. 기존 호텔의 주동은 디테일을 단순화 해 골조프레임만 드러낸 반면, 저층부에서는 수직 멀리온을 반복적으로 노출한 풍부해진 디테일을 통해 기존 호텔의 외관의 이미지를 변형하고, 확장한다. 우수상1 ’힐튼 스퀘어‘는 높은 레벨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슈퍼스트럭쳐 플랫폼을 제안한다. 힐튼과 서울스퀘어를 통합하는 플랫폼은 상부에 새로운 지구광장을 탄생시키고, 하부의 기존 도시조직이 보존된다. 우수상2 ’인사이드 아웃‘은 주동 날개에 매쓰를 더해 밀도를 높이는 대신 아트리움을 기둥과 계단만 남기고 외부화해 오히려 지구내부의 질 높은 외부공간이 확장되는 일종의 역설을 보여준다. 특선 8개 작품들 중에는 상위 수상작의 수준의 작업들이 여럿 있었는데 상 숫자의 제한과 유형들을 안배하는 과정에서 특선에 머무르게 되었다. 특히, ’철과 얼굴-도시유산을 보존하는 방법‘은 밀도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과 저층부, 외곽의 랜드스케이프와 수직동선에 이르기 까지 설득력 있는 형태언어를 보여주어 심사위원들이 주목한 작업이다.
남산 힐튼호텔과 양동정비지구를 포함하는 공모전의 범위와 주제는 도시와 건축, 프로그램의 해석과 제안, 힐튼호텔의 건축언어의 분석과 재해석 등에 이르기 까지 수준 높은 역량이 요구 된다. 일부 제안들은 탁월한 아이디어임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여건으로 인해 완성도에서 아쉬운 경우가 있었다. 평가를 바탕으로 보완 작업을 거친다면 좋은 작업으로 정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산 힐튼호텔의 보존과 활용 사이, 지혜를 구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제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참가자 여러분들에게 감사와 경의를 보낸다.
심사위원장 조 남 호
대상(문화재청상)
남산 힐튼스퀘어 8322: 우리의 도심 아트리움
Namsan Hiltonsqaure 8322: Our Urban Atrium
윤형두 | 이주상
◆ 작품 개요
■ 배경 설명 | 우리의, 그리고 앞으로의 남산 힐튼 호텔
남산 힐튼 호텔은 우리 현대사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건물이다. 힐튼 호텔은 힘들었던 전후 시절을 딛 고 이룩한 눈부신 성장의 상징이자 곧 있을 88올림픽에 맞춰 방문할 세계인에게 당당하게 내어줄 수 있 는 공간이었다. 무엇보다도 힐튼 호텔이 중요한 이유는 모더니즘이라는 국제적 흐름을 일정 부분 수용하 되, 우리의 방식대로 재해석한 건축적 자부심이 있는 건물이기 때문이다. 건물을 설계할 당시, 김종성 건 축가와 대우 김우중 회장에게 ‘모두의 가치’란, 힐튼 호텔로 유입되는 자본을 사회에 환원하여 국가 성장 에 이바지함은 물론, 국제 양식에 뒤처지지 않는 우리만의 건축물을 내놓아 한국의 가치를 널리 알려 한 국인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보편적 한국인’을 고려한 가치였다. 이는 성장하던 70~80년대 한국에 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으나, 시간이 지나며 한국은 많은 변화를 거쳤다. 변화한 시대는 과거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가치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과연 오늘날의 힐튼 호텔과 그 일대에서 우리가 새로이 투영할 수 있는 가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되짚어 보고자 한다.
우리는 힐튼 호텔의 보존 및 용도 변경, 그리고 증축 건물의 완성까지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접근하여 새 로운 ‘모두의 가치’를 조명하고자 한다. 힐튼 호텔의 새로운 모습은 사이트 일대 쪽방촌 주민들의 주거를 개선하고, 용도 변경을 통해 쪽방촌 주민들과 일자리를 잃을 기존 호텔 직원들의 재사회화를 돕는다. 그 뿐만 아니라, 서울로 7017과 서울역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도시적 확장을 통하여 건축적 공공성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응답하고자 한다.
■ 건축적 전략 | 프로젝트의 단계적 접근을 통한 모두의 가치
● 모두의 가치 1단계: 양동과 동자동 일대 쪽방촌 주민들과 호텔 종사자들
우선 우리는 서울시가 추진하고자 하는 ‘선이주 순환형 공공 개발’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되, 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도입하고자 한다. 해당 방식은 쪽방촌을 허물고, 사이트 내 가까운 곳에 영구 주거 공간이 지어 지는 동안 근처 임시 주거 공간에서 대상자들을 수용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힐튼 호텔의 남측 매스와 코어는 임시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고, 북측 매스와 코어는 쪽방촌 주민들과 기존 호텔 종사자들의 재사 회화 교육 및 보조 공간으로 사용된다. 이는 힐튼 호텔이 서비스 코어와 호텔 이용객 코어, 즉, 2개의 코 어를 갖고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 주거 공간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고, 교육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 에 용이하다. 두 프로그램은 힐튼 호텔 전체를 아우르는 아트리움으로 구분되고 이 장소는 남산과 서울 역 방면 조망이 좋은 라운지로 사용된다. 앞선 레노베이션을 통해 총 360명(2인 1실)의 주거 공간이 확 보 가능한데, 이는 약 230명에 육박하는 양동 쪽방촌 주민들을 모두 수용하고, 동자동 쪽방촌 주민 일부 까지도 수용이 가능한 수치이다. 한편, 기존의 쪽방촌이 있던 장소는 공원화하여 부족한 녹지 공간을 보 충해줄 새로운 공공 공간으로 탈바꿈된다. 그 이외에도 힐튼 호텔의 1층과 지하 1층은 서울 시민들을 위 한 공공 공간으로 사용되며, 동시에 호텔 서 측으로 공공 주택과 문화 시설 증축이 진행된다.
● 모두의 가치 2단계: 창업을 꿈꾸는 청년 및 보금자리를 찾는 젊은 세대
힐튼 호텔 서 측 신축이 완성된 2단계에서는 쪽방촌 주민 교육, 어매니티 및 보조 사무 공간으로 사용되 던 힐튼 호텔의 북측 매스는 스타트업 및 창업 공간 등,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유연한 공유 오피스로 전 환되며, 임시 주거로 사용되던 남측 매스는 이들에게 임대 주거 공간으로 제공된다. 호텔 객실이 유닛 구 성이라는 특성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은 크기를 취사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본인의 스타트업 및 기업 규 모에 맞춰 임대할 수 있다.
새로이 지어진 매스의 경우, 힐튼 호텔에서 임시로 묵으며 교육받던 쪽방촌 주민들에게 영구 주거 공간 으로 우선 제공한다. 그리고, 서울시의 공공 주택 개발 프로그램들의 취지를 이어받아, 신혼부부들을 포 함한 젊은 사회 계층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임대할 수 있는 주거 공간으로 활용한다. 매스 형태는 힐튼 호텔과 같이 남-북으로 길게 배치하며 각을 활용한 비슷한 건축적 언어를 갖는다. 매스는 채광과 남산과 도로와의 시각적 및 물리적 연계성을 고려한 계단형 입면을 갖춘다. 힐튼 호텔 아트리움의 지붕 (3층 레 벨), 즉 호텔과 새로운 매스 사이 공간은 힐튼 아트리움과 연계 및 확장된 문화, 상업 공간으로 활용한 다. 또한, 카지노로 사용되던 공간은 서울시의 근현대 발전사 뮤지엄 및 갤러리로 재구성되며, 하부 주차 장은 전시와 상업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탈바꿈시켜 퇴계로 방면 인구 유입과 연결성을 강화한다. 이 과 정에서, 힐튼 호텔 3층 옥외 공간과 지하 1층을 연결하는 자연 녹지 아트리움과 힐튼 주차장 건물을 관 통하는 새로운 2개의 아트리움을 도입하여 레벨 및 프로그램 간 이동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극적인 공간 경험을 제공한다.
● 모두의 가치 3 단계: 서울역과 서울로 7017을 고려한 도시적 연계
앞선 제안들이 탄력을 얻기 위해서는 외부와 힐튼 호텔의 빈약한 접근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 해서, 우선 서울 스퀘어 뒤편의 주차장을 상업 공간으로 레노베이션 할 것을 제안한다. 서울스퀘어와 힐 튼호텔 주차 공간 문제는, 사이트의 경사를 활용한 지하 주차장을 마련하여 해소한다. 더 나아가, 대우재 단빌딩과 연결된 서울로 7017을 확장하여 서울시 근현대 발전사 뮤지엄(기존 카지노)과 연결하여 힐튼 호텔 옥외 문화 공간을 서울로 7017의 연장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서울스퀘어 및 기존 주차장과 대 우재단빌딩을 통해서 접근하는 동선은, 상업 문화 공간의 연속으로 프로그램을 재배치하고, 유리 입면을 차용하는 방식으로 물리적, 시각적 연결성을 확보한다. 즉, 주차장처럼 머무를 수 없는 공간은 지하로 재 배치함과 동시에, 사이트 중심 공원과 도심 아트리움 공간으로 통하는 접근성을 크게 개선하여 힐튼 호 텔 프로젝트를 모두에게 개방된 공공 랜드마크로 재탄생시키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아트리움이 호텔 사용자들을 위한 전유 공간이었다면, 프로젝트 이후 새로운 공공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 힐튼 공 유 오피스 사용자들, 주변 직장인들, 그리고 상업 문화 공간 방문자들이 공존하는 도심 아트리움 (urban atrium)으로 재구성된다.
■ 기대효과 | 모두의 가치 – 남산 힐튼스퀘어 8322: 우리의 도심 아트리움
제인 제이콥스는 그녀의 저서,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에서, 근린공원은 주변 프로그램에 철저히 영향을 받으며, 이런 공공 공간이 활력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다양한 시간대에 끊임없이 방문할 수 있는 주변 환경이 조성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마찬가지로 모두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 해 단순히 소비 행위만 이루어지던 힐튼호텔에 주거와 창의적 생산 활동을 추가하여 다양성을 확보하고 자 한다. 한국의 모더니즘은 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우리만의 방식으로 진화, 발전하며 한국의 발전에 이바지하였고, 힐튼 호텔 또한 마찬가지다. 우리 팀 역시 김종성 건축가가 설계 당시에 고려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발생한 새로운 프로그램에 대한 대응’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재고하여 현시대에 필요 한 가치들을 건축적 언어로 제시한 것이다. 그가 힐튼 호텔을 통해 선물했던 ‘모두의 가치’가 서울과 한 국 발전에 크게 공헌한 만큼, 우리의 프로젝트 역시 우리 사회에 다시 한번 긍정적 영향을 끼치길 소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