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 이슈의 교훈과 도시.건축적 해법 Learning from “preservation and Demolition of the Old Cheongju City Hall”and Urban Architecture Solutions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평
심사위원장 김 준 성
구청사의 도시적 장소로써의 재해석에 대한 다양한 제안들을 볼 수 있어서 무척 즐겁고,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 대상과 내셔널트러스트상은 도시를 읽는 기본적 이해에 대한 배경 속에 각자 특색있는 건강한 제안들이었다. 대상에서는 도심 속 비움의 열린 공간으로서의 많은 가변성과 변화를 수용하면서도 구청사를 그 비움의 중요인자로 만들고자한 훌륭한 안이었고, 내셔널트러스트상작은 환경과 일상을 묶는 섬세한 제안으로 구청사가 그의 일부가 되어지는, 도시적 환경에 대한 또 다른 사고를 보여준 안이었다. 그 외 모두 우수작과 특선, 입선작들도 나름 개성있고, 신선한 사고들을 보여주기 충분하였다.
심사위원 박 기 범
구 청사에 대한 고민, 가로의 스케일에 대응하는 방식, 주변 도시조직에 대응하는 기법, 삶을 담아내는 오픈스페이스 등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담긴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청사를 물리적 형태로 남겨두는 것에서 나아가 어떤 레벨에서 어떻게 바라볼지 고민한 흔적들도 많았습니다.
도시민의 삶을 건축가의 언어로 구속하지 않고 삶의 모습들이 자연스럽게 담길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작품들이 수상의 영광을 누렸습니다. 창의성과 완성도 높은 학생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 도시건축의 미래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심사위원 조 재 원
이미 철거된 청주시청사를 보존하는 것을 전개로 한 이번 공모는 특별하다. 공모전이 이루어질, 가능한 해법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지향해야 할 가치를 세우는 공동의 연구의 장으로서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수상작 모두 아쉽게도 우리가 잃어버린 기회들을 드러내 보여주는 수작들이다. 특히, 당선안은 청사를 ‘남긴다’라는 명지한 전제를 새로운 도시맥락의 제안으로 훌륭히 완성해내었다.
심사위원 김 용 미
심사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1. 기존 가로와 편리하게 연결되는 접점들이 잘 만들어졌는지?
2. 원도심 내 시민들이 모일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가 기존 가로와 연결선상에서 인간적 스케일로 도심 속에 적절히 녹아있는지?
3. 건물들이 원도심의 스케일과 적절히 어울리는 경관을 현성하는지?
4. 기존 청주시청사의 존립방식에 대한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155개 작품은 다양한 해법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은 몇 개의 유형으로 나뉘어졌다. 심사과정에서 어떤 유형이 더 우수하다고 보기보다는 각 유형에서도 어떤 것이 더 완성도가 있는지를 평가기준으로 삼았다.
입선
기록과 사람(人); 모빌리티 허브를 통해 청주시의 과거, 현재, 미래를 연결짓다
Cheongju Mobility Hub
최대준 ㅣ 한현수 ㅣ 홍현기
◆ 작품 개요
청주 교통의 주요 중심지라는 대상지의 특징을 이용하여 모빌리티 허브를 만들고, 이용하는 시민들로 하여금 구 청주시청의 아카이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과거 청주시청은 청주의 역사, 정치, 교통, 문화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모든 도시맥락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었다. 과거부터 현재의 청주시 모습에 이르기까지의 과정들을 가장 가까이서 함께한 장소가 구 시청이며 구 시청의 보존은 곧 청주의 정체성이자 역사를 보존하는 것과 일맥상통하다고 볼 수 있다. 보존된 청주시청은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청주의 정체성 그 자체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앞으로의 청주시청은 어떻게 되어야 할까? 기록은 미래에도 지속된다. 우리는 앞으로의 새로운 청주를 담기 위한 수단으로서 교통에 집중하였다. 시청이라는 상징성과 더불어 교통의 요충지라는 장소성은 구 시청이 문화, 역사, 정치 등의 다방면에서 중심 역할을 해오는데 일조했다. 하지만 현재의 청주의 교통 인프라는 부족한 상태다. 상당로와 상당사거리를 중심으로 도로교통은 잘 구성되어 있는 반면 터미널, 철도역은 시가지에서 매우 떨어져 있어 대다수의 사람들이 불편을 느끼고 있다.
본 프로젝트의 목표는 구 청주시청이 시민들의 과거와 현재 모두의 일상을 담아내는 장소로 변화하는 것이다. 우선 구 청주시청 본관은 기능의 상징성을 통해 청주 역사를 아카이브한 공간으로 변화한다. 그리고 나머지 부지에는 모빌리티 허브를 통해 현재와 미래를 담아낼 공간을 구상한다. 청주 시내를 돌아다니는 트램과 그 외 다양한 교통수단들은, 시민들을 사이트로 모으는 기능을 하며, 사이트에 방문한 시민들은 공공프로그램을 경험하며 새로운 공간에 앞으로의 청주의 역사가 기록 될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공간에 새긴 시간의 격차를 공원이라는 영속적인 공간을 통해 이어지게 한다.
구 시청 부지는 오랫동안 교통의 중심지로써의 역할을 해왔고, 앞으로도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이는 시민들이 이전 보다 더 자주 구 시청에 오게되는 계기가 될 것이며, 구 시청 아카이브에는 청주의 역사가 계속해서 기록되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