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 이슈의 교훈과 도시.건축적 해법 Learning from “preservation and Demolition of the Old Cheongju City Hall”and Urban Architecture Solutions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평
심사위원장 김 준 성
구청사의 도시적 장소로써의 재해석에 대한 다양한 제안들을 볼 수 있어서 무척 즐겁고,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 대상과 내셔널트러스트상은 도시를 읽는 기본적 이해에 대한 배경 속에 각자 특색있는 건강한 제안들이었다. 대상에서는 도심 속 비움의 열린 공간으로서의 많은 가변성과 변화를 수용하면서도 구청사를 그 비움의 중요인자로 만들고자한 훌륭한 안이었고, 내셔널트러스트상작은 환경과 일상을 묶는 섬세한 제안으로 구청사가 그의 일부가 되어지는, 도시적 환경에 대한 또 다른 사고를 보여준 안이었다. 그 외 모두 우수작과 특선, 입선작들도 나름 개성있고, 신선한 사고들을 보여주기 충분하였다.
심사위원 박 기 범
구 청사에 대한 고민, 가로의 스케일에 대응하는 방식, 주변 도시조직에 대응하는 기법, 삶을 담아내는 오픈스페이스 등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담긴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청사를 물리적 형태로 남겨두는 것에서 나아가 어떤 레벨에서 어떻게 바라볼지 고민한 흔적들도 많았습니다.
도시민의 삶을 건축가의 언어로 구속하지 않고 삶의 모습들이 자연스럽게 담길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작품들이 수상의 영광을 누렸습니다. 창의성과 완성도 높은 학생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 도시건축의 미래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심사위원 조 재 원
이미 철거된 청주시청사를 보존하는 것을 전개로 한 이번 공모는 특별하다. 공모전이 이루어질, 가능한 해법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지향해야 할 가치를 세우는 공동의 연구의 장으로서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수상작 모두 아쉽게도 우리가 잃어버린 기회들을 드러내 보여주는 수작들이다. 특히, 당선안은 청사를 ‘남긴다’라는 명지한 전제를 새로운 도시맥락의 제안으로 훌륭히 완성해내었다.
심사위원 김 용 미
심사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1. 기존 가로와 편리하게 연결되는 접점들이 잘 만들어졌는지?
2. 원도심 내 시민들이 모일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가 기존 가로와 연결선상에서 인간적 스케일로 도심 속에 적절히 녹아있는지?
3. 건물들이 원도심의 스케일과 적절히 어울리는 경관을 현성하는지?
4. 기존 청주시청사의 존립방식에 대한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155개 작품은 다양한 해법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은 몇 개의 유형으로 나뉘어졌다. 심사과정에서 어떤 유형이 더 우수하다고 보기보다는 각 유형에서도 어떤 것이 더 완성도가 있는지를 평가기준으로 삼았다.
입선
우리는 언제나 길 위에 있었다.
On the Road
오재혁 ㅣ 이재호 ㅣ 여서현
◆ 작품 개요
길과 광장, 그리고 투쟁
소시민은 언제나 길 위에 있었다.
쟁취하기 위해서 싸우고 피 흘리던 곳은 먼지 날리던 길바닥이었다. 온몸으로 뒹굴던 그곳은 정치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광장이 되었고 우리는 그곳에서 투쟁의 역사를 써내려 왔다.
표면적 권력의 이동
그 결과로 오늘날에서야 시청이라는 정치적 공간은 주민들에게 열린 공간이 되기를 희망하며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공간 슬로건을 내 건다. 주권이 시민에게 있다는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것이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지향점이며 여전히 기단 위 굵은 기둥은 건재하고 있다. 보이지 않을 뿐 폭력적인 위압감을 온몸에 두르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보이지 않는 경계가 되어 소시민과 정치를 단절시키는 도구가 된다.
연결
그래서 우리는 구청사를 ‘연결’의 매개체로 사용하여 열린 시청사를 제안한다. 단순히 공간 측면의 건축적 활용방안에 그치지 않고, 청주라는 도시적 접근으로부터 시작한다. 그것에 대한 물리적, 비물리적 건축해법은 다음과 같다.
a.길의 연결
구청사 좌측으로는 보다 성공적인 도시재생으로 보행친화적인 중앙로가 위치하며, 우측으로는 이천과 대전을 연결하는 교통로로서의 성격을 띠는 상당로가 위치한다. 또한 구청사 서측의 무심천과 동측의 우암산 자락에서 연결되는 도로들을 청사 내부로 연결하여 보다 투과성이 높고 경계 지어지지 않는 열린 시청사를 제안한다.
b.열린공간(open space)의 연결과 확장
기존에 조성되어 있는 중앙로의 차 없는 보행자 거리와 그 끝의 청주 역사공원의 광장 흐름을 이어받는다. 대상지 내에 소유하지도 배척하지도 않는 외정 4개, 소유하는 내정 2개를 계획하여 시청을 관통하면서도 연결하는 건축적 장치로 작동시킨다. 비워진 ㅁ자 형태의 계획으로 방치된 전통적인 광장이 아닌 영역이 규정된 광장이 된다.
c.시각적 연결
종 방향으로 300m에 달하는 형태를 지닌 대상지는 하나의 시각적 시퀀스를 가진다. 길과 광장을 관통하기도 하면서 동시에 길게 이어진 열주를 따라 건축적 회랑을 경험하게 된다. 반 외부공간으로서 비를 맞지 않고 이동 가능하며 들어 올려진 광장, 내려간 광장, 다양한 성격의 평지의 광장을 만나는 과정에서 다채로운 연속적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대상지 내에서 이동할 때에 항상 구청사의 존재를 인식하게끔 하는 건축적 장치가 된다.
d.과거와 미래의 연결
신청사의 행정적 기능을 담당하는 주동 이외에 시민들에게 열린 1층과 제안하는 새로운 신청사 건물을 통해 물리적 이동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단순히 소장품으로 박물관에 전시되는 근대문화유산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소비되는 미래의 일부분으로서의 근대유산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