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청주시청사 활용방안‘
2012년 주민투표를 거쳐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이 결정되고 2014년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였다. 1896년 충청도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분리되었고, 1908년에 충주에 두었던 충청북도의 관찰부가 청주로 이전되면서 청주는 명실상부한 충청북도 제1의 도시가 되었다. 2014년 이후 꾸준히 성장한 청주시는 인구 100만에 가까운 도시가 되었다.
청주시의 성장사는 우리나라 근현대사와 맥을 같이해 왔다. 특히, 1960년대 경제성장기에 지어진 구청주시청사는 해방 이후 지역 행정의 중심지이자 보릿고개를 넘어 경제도약을 꿈꾸는 시민들의 여망과 실천이 담긴 곳이었다. 청주시는 충청북도에서는 처음으로 민간 건축전문가 제도를 도입하였고, 2020년에는 총괄건축가 제도를 도입하여 청주의 공공건축과 도시환경을 개선해오고 있다.
2020년 7월에는 오랜 준비를 거쳐 청주시청 새 청사 국제공모를 실시하여 ‘ㄷ자’ 형태로 청주시청 본관동을 감싸안는 듯한 노르웨이 건축가 스노헤타의 안을 선정, 새 청사 건립을 추진해 왔다. 당시 청주시청 새 청사 국제공모는 구시청사를 보존하면서 청주의 미래 비전을 담아내는 국제공모전으로 공모전의 준비에서 진행 그리고 결과에 이르기까지 국내 건축계의 주목을 받았다. 건축계에서는 구시청사가 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의 역사와 청주시민의 삶 그리고 건축사적 가치의 빼어남에 주목했고, 지역사회와 문화재청은 새 청사를 짓더라도 청주시의 성장사를 온전하게 담고 있는 구시청사의 보존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이다. 노르웨이 건축가 스노헤타의 당선안은 청주시민의 여망을 훌륭하게 담아냈고, 시는 100억에 가까운 설계비를 지급하며 설계를 마무리해 가고 있었다.
그러나 새 시장의 당선으로 상황은 비관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정치권의 지형변화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삶은 지속되어야 하는데 새 시장은 당선된 후 청주시청 본관동이 왜색이 짙다는 이유로 설계가 마무리된 현상설계 당선안을 백지화하고 새로운 공모를 통해 구시청사를 철거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청주시민은 물론 각계의 전문가와 문화재청에서도 청주시청사 본관동은 청주시와 청주시민의 삶과 현대사를 담고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아 문화재 등록을 권고했지만, 새 시장의 철거 의지는 바뀌지 않고 있다.
2022년 6.1지방선거 이후 본관을 철거하겠다는 새 시장과 시민의 삶과 역사가 담긴 시청사를 보존해야 한다는 시민사회와 전문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첨예하게 맞붙었다. 현실은 불행히도 강력한 행정력을 가진 시장의 의지가 관철될 순간에 직면해 있다.
구청주시청사 보존을 위해 청주시민과 각계 전문가와 뜻과 행동을 함께 해왔던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은 2023년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의 대상지로 ‘청주시청사’를 선정했다.
그동안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철거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정치적 판단에 의해 철거된 조선총독부 본관과 옛 서울시청의 훼손 등 역사유산의 주인인 시민사회와의 대화와 논의를 거치지 않은 정치적 결정에 의한 철거는 건축물의 보존이 단순히 건물의 물리적 상태 유지 이상의 의미가 있음을 전문가들이 동시대를 함께하는 시민들과 어떻게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아가야 할 것인가라는 과제를 남겨주었다.
구청주시청사뿐 아니라 청주시청사가 위치한 곳은 청주 도시구조의 핵심으로서 청주 근현대사를 같이한 모든 이의 삶이 담긴 기억의 장소이며, 이와같은 건축과 장소는 우리가 사는 도시 곳곳에 산재해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또 다른 과제, 구청주시청사는 기존의 해법을 넘어서는 또 다른 과제를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
모두가 주목했고,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것 같았던 설계공모 당선안이 조만간 이뤄질 구청주시청사의 철거와 함께 사라질 운명을 맞이한 시점에서 구청주시청사를 2023년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대상지로 삼은 것은 구청주시청사의 보존에 이구동성으로 뜻을 모았던 시민사회와 행정, 그들의 뜻에 적극 호응했던 국내외 건축가들과 그들의 작업, 철거에 직면하면서도 시민의 삶의 현장을 지키고자 노력했던 지난 시간과 노력이 쉽게 잊혀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와 같은 사례는 언제든지 다시 반복될 수 있고, 어쩌면 전국적으로 도미노 현상을 불러올지도 모른다. 개발의 시대를 넘어 오늘을 사는 건축가라면 보존과 철거의 현장에서 끊임없이 공존의 해법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을 맞닥뜨리게 된다.
공모전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건축을 업으로 삼는 분들은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에 대한 가치 판단과 논쟁의 전개과정을 살펴보며, 건축가가 무엇을 놓쳤고, 우리가 무엇을 더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결과를 제시해주기 바란다.
시청이라는 공공업무공간의 한계를 넘어 자유로운 용도와 기능을 추가 제안할 수도 있다. 옛 본관동을 보존하는 태도와 새로운 건축이 만나는 방법을 통하여 응모자의 철학이 드러나면 더욱 좋을 것이다. 제한된 용도를 넘어 창의적인 쓰임과 해법을 제안함으로써, 기성세대가 제출하였던 공모안들과 보존을 위한 노력의 한계를 뛰어넘기를 기대한다.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입선
동행
accompany
임지오 ㅣ 윤인수
◆ 작품 개요
Prologue
현재 사이트는 청주 읍성의 역사를 지닌 장소에 위치하여있고, 과거 문화 행정의 중심지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청주 내에 택지개발지구가 생겨나고 많은 사람들이 상당구를 빠져나가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구도심이 되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청주는 현재 과학 산업이 발달하고 있으며, 각종 예술 행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두가지 특성을 보여주지만 도시의 색깔을 정립하는데 방해가 된다.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주목했던 부분은 구도심의 활성화였으며, 건물에 공공성을 띄는 공간을 만드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Site Analysis
청주시에는 문화제초창에서의 국제공예비엔날레, 청주 문화원에서의 지역적 문화행사, 예술의 전당에서 충북문화제등 다양한 문화예술적행사가 이뤄지고 있다. 또한 상당구는 성안길 시네마거리, 청소년광장, 중앙공원, 상당공원등 시민 문화공간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사이트 주변에는 주성초등학교, 청주중학교,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우암초등학교등 주변의 교육을 책임지는 기관이 있고, 다양한 근린생활시설과 주택으로 이루어져있는 상업과 주거가 공존하는 사이트이다.
Concept
예술과 행정이 들어감으로써 서로 다른 성격을 지닌 프로그램이 공생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생각하게 되었고, 예술의 성격을 지닌 센터에서의 공공성의 성격을 띌 수 있는 방향의 배치와 예술센터와 행정과의 공간적 연결하고 서로 다른 성격을 지닌 프로그램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발전하여 더 나은 청주가 되고자 '동행'이라는 컨셉을 적용시키게 되었다.
Program
청주시의 색깔 문화예술과 사이트 주변의 색깔인 교육을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전시관과 관람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본인만의 예술을 창작할 수 있는 공방을 넣음으로써 학생들과 지역주민의 예술 활동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고 청주의 색깔을 예술로서 확정시키고자 한다. 상업과 주거에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행정의 성격을 지닌 시청이 들어감으로써 청주의 중심이 될 수 있을것이라 생각한다. 구시청은 각기다른 프로그램을 연결시키는 휴게공간이 된다. 1,2층은 지역주민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 3,4층은 직원들의 휴게실이 된다.
Design
예술과 행정이 하나의 공간 내부에서 분리되지만 같은 형태의 매스를 가짐으로서 하나의 건물로 이어지게 된다. 예술 부분은 공공성과 개방성을 위해 내부 실들을 건물 외벽과 거리를 두는 배치를 가지게 되었다. 행정의 부분은 건물을 연결 하기 위해 같은 형태의 매스를 가져가지만 실들을 외벽에 붙여 배치함으로써 내부 홀 부분에 1층과 2층을 연결해주는 아트리움이 형성된다. 또한 개방성을 위해 큰 창들이 생성되었으며, 행정 부분등 프라이빗한 공간들은 가려지기 위해 루버 디자인을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