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 이슈의 교훈과 도시.건축적 해법 Learning from “preservation and Demolition of the Old Cheongju City Hall”and Urban Architecture Solutions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평
심사위원장 김 준 성
구청사의 도시적 장소로써의 재해석에 대한 다양한 제안들을 볼 수 있어서 무척 즐겁고,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 대상과 내셔널트러스트상은 도시를 읽는 기본적 이해에 대한 배경 속에 각자 특색있는 건강한 제안들이었다. 대상에서는 도심 속 비움의 열린 공간으로서의 많은 가변성과 변화를 수용하면서도 구청사를 그 비움의 중요인자로 만들고자한 훌륭한 안이었고, 내셔널트러스트상작은 환경과 일상을 묶는 섬세한 제안으로 구청사가 그의 일부가 되어지는, 도시적 환경에 대한 또 다른 사고를 보여준 안이었다. 그 외 모두 우수작과 특선, 입선작들도 나름 개성있고, 신선한 사고들을 보여주기 충분하였다.
심사위원 박 기 범
구 청사에 대한 고민, 가로의 스케일에 대응하는 방식, 주변 도시조직에 대응하는 기법, 삶을 담아내는 오픈스페이스 등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담긴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청사를 물리적 형태로 남겨두는 것에서 나아가 어떤 레벨에서 어떻게 바라볼지 고민한 흔적들도 많았습니다.
도시민의 삶을 건축가의 언어로 구속하지 않고 삶의 모습들이 자연스럽게 담길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작품들이 수상의 영광을 누렸습니다. 창의성과 완성도 높은 학생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 도시건축의 미래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심사위원 조 재 원
이미 철거된 청주시청사를 보존하는 것을 전개로 한 이번 공모는 특별하다. 공모전이 이루어질, 가능한 해법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지향해야 할 가치를 세우는 공동의 연구의 장으로서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수상작 모두 아쉽게도 우리가 잃어버린 기회들을 드러내 보여주는 수작들이다. 특히, 당선안은 청사를 ‘남긴다’라는 명지한 전제를 새로운 도시맥락의 제안으로 훌륭히 완성해내었다.
심사위원 김 용 미
심사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1. 기존 가로와 편리하게 연결되는 접점들이 잘 만들어졌는지?
2. 원도심 내 시민들이 모일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가 기존 가로와 연결선상에서 인간적 스케일로 도심 속에 적절히 녹아있는지?
3. 건물들이 원도심의 스케일과 적절히 어울리는 경관을 현성하는지?
4. 기존 청주시청사의 존립방식에 대한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155개 작품은 다양한 해법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은 몇 개의 유형으로 나뉘어졌다. 심사과정에서 어떤 유형이 더 우수하다고 보기보다는 각 유형에서도 어떤 것이 더 완성도가 있는지를 평가기준으로 삼았다.
입선
구청사를 담은 청주시청사
Cheongju City Hall with District Office
이찬희 ㅣ 오지혜
◆ 작품 개요
본 팀은 본관동을 보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본관동의 중심성이 강조되기를 바랐다. 따라서 본 작품의 설계 전반에 걸쳐 어떻게 하면 본관동의 중심성이 강조될 수 있을지를 고민하였다.
우선 사이트 분석을 통해 컨셉을 생각해보았다. 첫째, 대지 주변으로 Green Space 혹은 Open Space가 부족했다. 그래서 본 대지를 통해 Green & Open Space를 만들고, 사람들의 동선을 연결하고자 하였다. 둘째, 대지 동쪽으로 5차선이 있으며 나머지는 왕복 2차선 도로다. 따라서 동쪽으로 주접근 방향을 설정하였다. 셋째, 남쪽으로는 청주역사공원과 옛청주역사전시관이 위치한다. 이는 본관동의 청주시의 역사와 이어져 사람들의 발길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을 생각했고, 이를 위해 본관동과 청주역사공원을 잇는 부분을 open space로 연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관동은 대지 중심에 위치한다. 또한 본관동의 중심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는 신축 건물들의 높이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관동보다 높아지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분석과 생각을 바탕으로 open space를 먼저 설정한 후, 그 주변으로 신축 건물을 설계하였다. 주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남쪽으로는 주민편의시설을 위치시키고 북쪽으로는 시의회와 시청사 직원들이 사용하는 공간으로 계획했다. 그 중에서도 1층은 주민과 직원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다음으로는 좀 더 디테일한 디자인 아이디어다. 본관동의 디자인 특성을 들여다보면, 돛대를 상징한 형상, 박공지붕, 벽돌, 입면을 통한 수평강조, 청주를 상징하는 주성의 배모양의 난간, 아치 및 아케이드, 곡선계단 등이 있다. 본 팀은 신축되는 건물에도 본관동의 특징들이 그대로 닮거나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재정의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본관동의 중심성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청사 내부에는 큰 아트리움으로 설계하였다. 이는 시각적인 개방감을 주면서 수직 동선을 통해 기능적 연결을 할 수 있다. 그러나 1층과는 수직동선 연결을 제한함으로써 2~4층의 보안 기능을 강화하였다.
이처럼 ‘구청사를 담은 청주시청사’에 대해 고민하며 설계해보았다. 이를 통해 역사의 중요성을 깊이 생각하며, 청주시 주민이 청주시청사를 이용할 때의 감정과 행동들을 고민하며 설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