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청주시청사 활용방안‘
2012년 주민투표를 거쳐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이 결정되고 2014년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였다. 1896년 충청도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분리되었고, 1908년에 충주에 두었던 충청북도의 관찰부가 청주로 이전되면서 청주는 명실상부한 충청북도 제1의 도시가 되었다. 2014년 이후 꾸준히 성장한 청주시는 인구 100만에 가까운 도시가 되었다.
청주시의 성장사는 우리나라 근현대사와 맥을 같이해 왔다. 특히, 1960년대 경제성장기에 지어진 구청주시청사는 해방 이후 지역 행정의 중심지이자 보릿고개를 넘어 경제도약을 꿈꾸는 시민들의 여망과 실천이 담긴 곳이었다. 청주시는 충청북도에서는 처음으로 민간 건축전문가 제도를 도입하였고, 2020년에는 총괄건축가 제도를 도입하여 청주의 공공건축과 도시환경을 개선해오고 있다.
2020년 7월에는 오랜 준비를 거쳐 청주시청 새 청사 국제공모를 실시하여 ‘ㄷ자’ 형태로 청주시청 본관동을 감싸안는 듯한 노르웨이 건축가 스노헤타의 안을 선정, 새 청사 건립을 추진해 왔다. 당시 청주시청 새 청사 국제공모는 구시청사를 보존하면서 청주의 미래 비전을 담아내는 국제공모전으로 공모전의 준비에서 진행 그리고 결과에 이르기까지 국내 건축계의 주목을 받았다. 건축계에서는 구시청사가 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의 역사와 청주시민의 삶 그리고 건축사적 가치의 빼어남에 주목했고, 지역사회와 문화재청은 새 청사를 짓더라도 청주시의 성장사를 온전하게 담고 있는 구시청사의 보존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이다. 노르웨이 건축가 스노헤타의 당선안은 청주시민의 여망을 훌륭하게 담아냈고, 시는 100억에 가까운 설계비를 지급하며 설계를 마무리해 가고 있었다.
그러나 새 시장의 당선으로 상황은 비관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정치권의 지형변화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삶은 지속되어야 하는데 새 시장은 당선된 후 청주시청 본관동이 왜색이 짙다는 이유로 설계가 마무리된 현상설계 당선안을 백지화하고 새로운 공모를 통해 구시청사를 철거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청주시민은 물론 각계의 전문가와 문화재청에서도 청주시청사 본관동은 청주시와 청주시민의 삶과 현대사를 담고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아 문화재 등록을 권고했지만, 새 시장의 철거 의지는 바뀌지 않고 있다.
2022년 6.1지방선거 이후 본관을 철거하겠다는 새 시장과 시민의 삶과 역사가 담긴 시청사를 보존해야 한다는 시민사회와 전문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첨예하게 맞붙었다. 현실은 불행히도 강력한 행정력을 가진 시장의 의지가 관철될 순간에 직면해 있다.
구청주시청사 보존을 위해 청주시민과 각계 전문가와 뜻과 행동을 함께 해왔던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은 2023년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의 대상지로 ‘청주시청사’를 선정했다.
그동안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철거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정치적 판단에 의해 철거된 조선총독부 본관과 옛 서울시청의 훼손 등 역사유산의 주인인 시민사회와의 대화와 논의를 거치지 않은 정치적 결정에 의한 철거는 건축물의 보존이 단순히 건물의 물리적 상태 유지 이상의 의미가 있음을 전문가들이 동시대를 함께하는 시민들과 어떻게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아가야 할 것인가라는 과제를 남겨주었다.
구청주시청사뿐 아니라 청주시청사가 위치한 곳은 청주 도시구조의 핵심으로서 청주 근현대사를 같이한 모든 이의 삶이 담긴 기억의 장소이며, 이와같은 건축과 장소는 우리가 사는 도시 곳곳에 산재해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또 다른 과제, 구청주시청사는 기존의 해법을 넘어서는 또 다른 과제를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
모두가 주목했고,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것 같았던 설계공모 당선안이 조만간 이뤄질 구청주시청사의 철거와 함께 사라질 운명을 맞이한 시점에서 구청주시청사를 2023년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대상지로 삼은 것은 구청주시청사의 보존에 이구동성으로 뜻을 모았던 시민사회와 행정, 그들의 뜻에 적극 호응했던 국내외 건축가들과 그들의 작업, 철거에 직면하면서도 시민의 삶의 현장을 지키고자 노력했던 지난 시간과 노력이 쉽게 잊혀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와 같은 사례는 언제든지 다시 반복될 수 있고, 어쩌면 전국적으로 도미노 현상을 불러올지도 모른다. 개발의 시대를 넘어 오늘을 사는 건축가라면 보존과 철거의 현장에서 끊임없이 공존의 해법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을 맞닥뜨리게 된다.
공모전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건축을 업으로 삼는 분들은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에 대한 가치 판단과 논쟁의 전개과정을 살펴보며, 건축가가 무엇을 놓쳤고, 우리가 무엇을 더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결과를 제시해주기 바란다.
시청이라는 공공업무공간의 한계를 넘어 자유로운 용도와 기능을 추가 제안할 수도 있다. 옛 본관동을 보존하는 태도와 새로운 건축이 만나는 방법을 통하여 응모자의 철학이 드러나면 더욱 좋을 것이다. 제한된 용도를 넘어 창의적인 쓰임과 해법을 제안함으로써, 기성세대가 제출하였던 공모안들과 보존을 위한 노력의 한계를 뛰어넘기를 기대한다.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입선
점과 선 : 공간의 기억을 잇다
Dots and Lines : Connecting the Memory of Space
박지연 ㅣ 박지찬 ㅣ 경우현
◆ 작품 개요
❙ 역사 속의 점과 선을 찾아서
시간은 흐르며 과거의 공간은 변화하고 사라져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속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삶의 내용, 방식 그리고 흔적들은 지속되어진다.
1500년의 역사를 가진 청주. 오랜 시간 축적되어온 역사 도시라는 자산은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공유되며 공통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과거로부터 쌓여온 시간의 켜와 다양한 삶들의 축적 속에서 가지게 된 그들만의 이야기, 그것을 바탕으로 도시는 본연의 정체성을 형성해 낸 것이다. 그러나 과거의 흔적을 잃는 순간, 도시는 정체성을 잃은 무미건조한 장소가 되어버릴 것이다. 따라서 과거의 기억과 미래의 기대 속, 우리는 계속해서 현재에 미래를 기입하고 과거와 소통할 수 있는 건축적 표현법을 찾아내어야 했다.
현재 청주는 읍성의 역사를 기반으로 한 도시공간구조를 가진다. 청주의 도시 공간의 연속성을 고려하였을 때 도심 속 가로의 발생과 변천은 청주라는 도시의 역사를 담아내고 있으며 그들이 띠는 역사적 성질은 새로운 청주의 시청사가 들어설 공간과 도시의 과거, 그리고 오늘을 매개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는 청주 읍성에서 뻗어 나와 발전을 이어온 상당로 & 성안로(중앙로)를 도시의 주요가로로써 선정하였으며 ‘상당로’는 청주 구도심과 신도심의 주요한 시설들을 연결하는 가로로서 현재성을 띠는 선 그리고 ‘성안로(중앙로)’는 읍성에서 보존되어 이어지는 보행자 가로의 성격을 가진 역사성을 띠는 선이라 칭하였다. 또한 두 개의 선, 그 사이에 위치한 청주 시청사 부지 속에는 과거의 흔적을 지닌 3가지의 점들이 존재한다. 과거의 철도 하치장 / 시청 본관동 / 원림, 이들은 부지 내에서 그들의 흔적을 보존하며 시청사 부지의 가치적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
우리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개의 선, 과거의 기억을 지닌 세 개의 점, 그 사이에서 청주의 과거와 현대를 기억하며 청주가 가져야 할 미래의 모습을 제시하려 한다.
❙ 점과 선, 서로를 연결하다.
역사와 기억과 같은 텍스트가 변화된 과정 및 시간 속에서 서로가 가지는 의미를 각각의 프로그램들을 통해 텍스트화시켜 사이트 내부에 각각의 장소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공간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려 하였다.
1) 본관동에 대한 개념
근대유산은 가치평가가 완료된 것이 아니다. 그들은 계속해서 그들만의 가치를 형성하는 중이며 그 가치 형성의 주체는 60여 년을 함께한 시민들이다. 또한 그 시간 동안 건축물과 시민들이 공존함으로써 청주 시청사라는 정체성이 만들어졌다. 이에 시청사는 시민들과 함께해 온 그들이 이룩해 온 것을 간직하는 ‘기억’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본관동을 보존하며 그들의 가치를 이어가려 한다.
본관동은 사이트의 중앙에 위치하며 남과 북, 동과 서를 이어주는 하나의 ‘폴리’로서 작용한다. 남과 북의 역사적 공간들을 이어주는 중심점 및 단절된 동과 서를 이어주는 연결점으로서 과거의 상징적 공간만으로 남는 것이 아닌 시민들의 일상에 녹아들어 함께하는 공간으로의 발전을 목표로 설계안을 진행하였다.
2) 보행자 거리를 접하는 중앙로 매스 개념
사이트 서측에 위치한 중앙로는 옛 청주 읍성의 중심가로인 성안로와 연결되며, 청주시 구도심의 중심 상권을 잇는 가로이며 성안로에서 연장된 상업지구는 역사 광장 앞까지 형성되어 있다. 우리는 구도심에서 연장되어 온 가로가 역사 광장을 끝으로 끊어지는 것이 아닌 시청사의 서측 가로와 이어지게 하였다.
이를 통해 서측의 보행 가로와의 연계를 이루어내고 과거의 가로를 이어내 보존하여 유기적인 관계를 만들고자 한다.
3) 의회 공간 – 본회의장 매스 개념
청주시가 지방자치단체로 변화하며 의회 공간은 공공성을 띠는 중요한 공간이 되었다. 우리는 역사적 공간과 새롭게 생성된 공간들을 하나의 텍스트로 재탄생시키며 공간의 새로운 개입을 만들어주기 위해, 과거와 현대의 매스가 교차된 공간에 의회를 배치시켰다. 즉, 의회는 과거 및 현재와 연결되며 새로운 텍스트를 형성시켜줄 ‘개입’이다. 따라서 새로운 의회는 과거의 모습과 이야기를 지닌 장소로, 주민들의 휴식·소통의 공간이자, 우암산과 원림(原林)을 관망하며 자연과 관계하는 『정자』 의 형태를 띠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