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 이슈의 교훈과 도시.건축적 해법 Learning from “preservation and Demolition of the Old Cheongju City Hall”and Urban Architecture Solutions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평
심사위원장 김 준 성
구청사의 도시적 장소로써의 재해석에 대한 다양한 제안들을 볼 수 있어서 무척 즐겁고,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 대상과 내셔널트러스트상은 도시를 읽는 기본적 이해에 대한 배경 속에 각자 특색있는 건강한 제안들이었다. 대상에서는 도심 속 비움의 열린 공간으로서의 많은 가변성과 변화를 수용하면서도 구청사를 그 비움의 중요인자로 만들고자한 훌륭한 안이었고, 내셔널트러스트상작은 환경과 일상을 묶는 섬세한 제안으로 구청사가 그의 일부가 되어지는, 도시적 환경에 대한 또 다른 사고를 보여준 안이었다. 그 외 모두 우수작과 특선, 입선작들도 나름 개성있고, 신선한 사고들을 보여주기 충분하였다.
심사위원 박 기 범
구 청사에 대한 고민, 가로의 스케일에 대응하는 방식, 주변 도시조직에 대응하는 기법, 삶을 담아내는 오픈스페이스 등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담긴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청사를 물리적 형태로 남겨두는 것에서 나아가 어떤 레벨에서 어떻게 바라볼지 고민한 흔적들도 많았습니다.
도시민의 삶을 건축가의 언어로 구속하지 않고 삶의 모습들이 자연스럽게 담길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작품들이 수상의 영광을 누렸습니다. 창의성과 완성도 높은 학생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 도시건축의 미래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심사위원 조 재 원
이미 철거된 청주시청사를 보존하는 것을 전개로 한 이번 공모는 특별하다. 공모전이 이루어질, 가능한 해법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지향해야 할 가치를 세우는 공동의 연구의 장으로서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수상작 모두 아쉽게도 우리가 잃어버린 기회들을 드러내 보여주는 수작들이다. 특히, 당선안은 청사를 ‘남긴다’라는 명지한 전제를 새로운 도시맥락의 제안으로 훌륭히 완성해내었다.
심사위원 김 용 미
심사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1. 기존 가로와 편리하게 연결되는 접점들이 잘 만들어졌는지?
2. 원도심 내 시민들이 모일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가 기존 가로와 연결선상에서 인간적 스케일로 도심 속에 적절히 녹아있는지?
3. 건물들이 원도심의 스케일과 적절히 어울리는 경관을 현성하는지?
4. 기존 청주시청사의 존립방식에 대한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155개 작품은 다양한 해법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은 몇 개의 유형으로 나뉘어졌다. 심사과정에서 어떤 유형이 더 우수하다고 보기보다는 각 유형에서도 어떤 것이 더 완성도가 있는지를 평가기준으로 삼았다.
입선
청주 일상 기록소
Daily Archives
김희란 ㅣ 문현정
◆ 작품 개요
청주시청의 장소적 가치
청주 시청은 건축적 가치뿐만 아니라 장소적 가치도 지니고 있다. 긴 시간 청주의 행정 중심지로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으며, 옛 청주역과 더불어 청주, 중부지방의 만남의 광장기능을 수행해 왔다. 남측에는 성안길과 철당간 청녕각 등 역사 유적들이 남겨져 있고, 지금은 사라진 옛 청주역은 청주역사공원으로 남겨졌다. 바쁘게 변해 온 도시 속에서도 청주 시청과 주변 길에는 과거 청주의 모습들이 기록되어 있다. 대지 서측과 북측에 국립 현대 미술관과, 예술의 전당, 종합운동장이 건립되며 청주 시청은 남측 역사축과 북,서측 문화축을 연결하는 거점이 될 가능성을 갖게 되었다.
신도심과 비교되고 있는 구도심, 청주시청은 무심천과 우암산 녹지공간에 둘러쌓여 있으며 인근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들이 밀집되어 있다.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 단위가 주를 이루기에 신도심처럼 상업지역 활성화나, 관광지 개발을 위한 랜드마크적 시청보다 일상 속에 스며드는 시청이 필요하다.
청주시청 정체성 구축
청주시청과 구 시청, 주민 3요소들을 조합하여 [void, axis, node] 세가지 건축적 방안을 도출했다. 청주 시청에 적합하게 역사성과 장소성 정체성을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시청을 설계 하려한다.
VOID_ 광장 복구와 시민 유도 (역사성)
옛 청주역 기록 : 청주 시청이 들어서기 전부터 대상지 남동측에 옛 청주역이 위치하고 있었다. 청주역과 시청 사이 광장은 시민들과 타지역 사람들이 만나는 만남의 중심지였으나 청주역이 이전하며 사람들의 발걸음도 줄어들었다. 이 공간을 재현하며 주민들의 추억을 이끌어낸다.
- 청주역 터에 주민편의시설로 시민 유도 및 기억속 만남의 광장을 재현, 광장의 기억을 통해 역사성 상기.
- 가로 노상주차장을 시청지하에 이전해 가려진 보행로를 활성화하며 시청의 경계가 지워진 열린 광장, 작은 규모로 광장 영역을 분절한 소통마당 구축.
AXIS_ 구 시청과 새로운 청주시청의 축을 통한 보행로 연결 (장소성)
과거의 시청북측은 차량 통로로 활용 되었고 옆 건물에 의해 서측 도로와 단절 되었다 그러나 시청의 북측 입면에서 용화사가 있는 보행로가 시작된다.
- 신 청사는 대지에 순응하는 남북(수직축)방향으로 병렬 배치. 시민들을 성안길에서 열린광장을 지나 구 시청을 관통하고 구 시청의 입면을 따라 용화사로 걸어가도록 유도하여 청주 구도심의 역사, 문화의 축을 연결한다.
NODE_ 청주의 역사를 간직한 구시청에 시민들의 일상을 기록하는 거점 형성 (정체성)
동네 기록관은 청주시에서 마을 활성화를 위해 계획한 프로젝트다. 시민들의 일상을 아카이빙하며 주민들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동네 기록관은 청주 구석구석 15개소가 설립되었다.
- 기록관 인프라 구축, 주민에서 마을로 마을에서 청주시로 소통하는 청주 일상 기록소.
- 구 청주시청 입면에 수직 동선을 삽입하고 벽면을 이용해 일상 기록물 전시. 청주 역사가 담긴 구시청 입면 위에 시민들의 삶을 기록.
보행로 위 시민들은 복구된 광장을 통해 시청에 대한 심적 경계를 풀고 일상 기록소에 모여 공연관람과 하루 기록을 만들어가며, 청주 시청은 일상이 머무는 거점으로 거듭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