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특선
올바른 자유란 무엇인가
What is correct freedom?
장윤성
◆ 작품개요
'올바른' 자유란 무엇인가. 과거의 자유는 자유라는 체제를 위한 것이었으며, 현재의 자유는 익명에 숨은 날카로운 개인주의를 위한 것이 되어버렸다. 공공성을 표방하며, 소수의 권력자들이 학습시킨 자유. 공공성을 표방하며, 다수의 익명자들의 책임없는 자유. 위 아래로 짓눌려버린 자유의 피해자들을 추모하며, 수직적 자유라는 아이러니함 속에 수평선을 긋는다. 자유센터를 둘러본 이들의 마음 속 수평선은 취소선일 지,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지평선일 지. 이상적 자유를 향한 몸부림의 건축을 제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유센터의 가치를 보존하며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이 땅은 반공 이념의 상징에서 다양한 이념과 담론을 수용 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주제문과 사이트 분석을 기반으로 했을때, 그런 자유란, 영화와 닮아있다. 영화란 결국 삶을 관찰해서 렌즈에 담아내는 행위이며, 처음 발의했던, 소수의 권력자들이 학습시킨 자유는 자신의 사상을 주입하는 감독의 역할과 타인의 삶을 도촬하는 것과 같다. 또한 다수의 익명자들이 결국 렌즈 밖에서 품평하는 책임없는 대중과 같다. 렌즈, 빛이라는 권위에 당할 수 밖에 없는 배우들은 어쩌면 우리들일 수도 있고 희생자들일 수도 있다. 따라서 '독립영화'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이념을 수용하고 병치하는 공간으로 재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