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근대+도시+건축+마을
MODERN + URBAN + ARCHITECTURE + VILLAGE
이민수
◆ 작품개요
자유센터와 시대성과의 관계
자유센터는 각 시대의 사회적, 문화적 환경에 따라 변하는 공간이었다. 자동차 극장일 때는 주차장에 스크린을 더했고, 예식장으로 쓰일 때는 정면 열 주까지의 증축과 야외 결혼식장을 덧대고 물류센터에는 이동 가능한 큰 스케일의 트럭들이 점유하게 되었다.
자유센터의 보존 방법
자유센터의 상징적이고 외부적으로 보여줘야 했던 외관과 요소를 보존하고 내부 공간의 일부는 건축에 대한 기억과 경험의 공간으로, 일부는 아트리움으로 새롭게 채워지는 기억과 경험적 공간으로 남겨질 것이다. 입면에 보이는 것처럼 자유센터 중심의 백색의 출입구와 기존 지붕층에 덧대어진 백색의 구조들이 배치되어 있다. 백색의 구조물은 앞으로 나아갈 세월의 흔적을 남기게 된다.
자유센터의 이미지 탈피의 한계점
자유센터는 건축이라는 예술로 건축물 자신의 힘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소였다. 그러나 이로 인해 다른 도시 요소들과 연결되지 못하고, 고립된 존재로 남아 있다. 주변에 경험적 장소를 제공하기 위해 자유센터를 초기 근대 건축부터 현재까지의 건축 작품을 보여주는 장소로 전환했다. 각 시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를 시도했지만, 외부적으로 권위적이고 무거운 분위기를 가리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실내를 비우고 외부를 감싸는 개념을 도입했다. 자유센터의 고유한 가치를 보존하면서 프레임을 감싸고 픽셀화해 무거운 분위기를 낮추고, 디지털 그림처럼 보존, 전시하는 개념을 가져갔다. 그림처럼 남겨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자유센터가 가진 장소성 보존 방법
남산, 타워호텔, 신라호텔, 장충단공원, 장충체육관, 남산타워, 국립극장과 같은 다양한 근대 건축물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다. 이 요소들이 각기 다른 역할을 해 단절된 느낌을 주고 있다. 서로의 흐름 연결해 근대 도시, 근대건축 마을이라는 하나의 문화 관광지로의 역할을 부여하게 되었다. 여기서 핵심은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수직적 확장은 지양하고, 새로운 건축물과 프레임은 수평적 스케일을 유지하여 주변 근대 건축물과 자연과의 형성된 관계와 흐름을 깨지 않도록 했다. 그리고 자유센터는 아트리움과 건축 전시 등의 경험적 공간을 제공하고, 장충단을 위한 메모리얼 공원을 조성하여 새로운 공원과 연결을 했다. 주변 시설의 방문객과 시민들에게 장소에 대한 역사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단절된 요소들을 통합해 조화로운 도시 환경을 만들어낸다. 이로써 자유센터는 역사적 장소성을 보존하면서도 현대적 기능을 갖춘 장소이자 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되고 타워호텔과 연관성을 강화할 수 있다.
원형램프의 의미
자유센터에서 메인 계단을 굉장히 길게 해 권위적으로 보였다. 이 계단을 자유센터가 가진 시대적 상징성의 요소로 보게 되었다. 그래서 보존된 실내 공간에 수직 동선을 계단이 아닌 원형 램프로 사용하게 되었다. 원형 램프를 통해 수직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수직적으로 배치된 시대별 건축전시를 하나로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도달하면 조선-근대-현대의 모습을 보여줘. 권위적인 분위기보다 자유로운 분위기를 나타나게 된다.
현시대의 정의 I 다감각적 공간 추구
팬데믹 이전, 우리는 거리의 팝업 스토어와 플래그십 스토어를 돌아다니며 하나의 주제를 가진 공간을 즐겼다. 그러나 팬데믹의 도래와 함께, 1인, 2인 주거 형태가 보편화되고 사회적 단절이 심화되어 개인화는 가속화되었다. 오피스텔, 원룸, 아파트와 같은 휴먼 스케일의 모듈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새로운 경험을 갈망하게 되었다. 팬데믹 동안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는 모호해졌고, 디지털 공간은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이를 자유롭게 오가며, 두 세계의 속에서 새로운 형태의 경험을 찾고 있다. 엔데믹이 오고 기존의 단조로운 주거 공간을 벗어나, 더 현대 서울이나 스타필드 별마당 도서관과 같은 대형 복합 공간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런 공간들은 단순히 크기로 압도하는 것이 아닌, 시각, 후각, 청각 등 여러 감각을 자극하는 다감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이런 시대적 배경으로 덧 대어진 새로운 직사각형 형태의 새로운 공간이 나왔다.
현시대의 정의 II 디지털 시대에서 자유센터의 역할
현시대는 데이터 사회라고 생각한다. 팬데믹 이후 온라인 활동이 일상화되면서 디지털 공간의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디지털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의 중요성도 더욱 부각되었고, 자유센터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단순한 데이터 보관소가 아닌 블록체인을 이용해서 적은 서버로도 효율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데이터센터로 자리 잡아 데이터 사회에서 중요한 요구를 충족시키면서도 디지털 시대의 흐름에 맞춘 공간으로 자리매김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