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반공의 무대에서 문화의 무대로
From an Anti-Communism Stage to a Cultural Stage
장건희 노현진 정시헌
◆ 작품개요
설계 개념
과거, 반공을 상징하는 기념비적 건축물로 박정희 정부의 정치적 신념을 홍보하는 큰 무대 같았던 자유센터는 시대가 바뀌며 반공 이념의 쇠퇴와 함께 정체성이 모호해졌다. 그러나 과거 반공 이념을 대표해 한 시대를 상징했던 이 공간은 이제 새로운 이념과 특징으로 재탄생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것은 단연 한류의 글로벌화를 이끄는 KPOP이다. 자유센터의 설계 주안점이었던 오버 스케일의 웅장함을 정치적 이념이 아닌, 모두가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KPOP 공연장으로 변모시키는 것은 어떨까? 이는 본래 자유센터의 설계 주안점을 계승하면서도, 긍정적인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길이 될 것이다.
무대구성으로의 변화
기존 자유센터는 다음과 같은 변화를 통해 새로운 모습을 선보이고 한다. 자유센터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남북 광장을 연결하는 중앙계단을 확장해 중앙계단 앞쪽에 있는 무대에 개방감을 선사하고, 이를 통해 무대공연을 위한 단체 출연자들이 중앙계단을 무대 공연 요소 중 하나가 되어 풍부한 야외공연무대를 펼칠 수 있다. 이어서 중앙계단에서 대지레벨로 발을 내딛는 곳에 무대를 설치하여 기존의 자유센터가 무대의 배경이 되어 기존의 자유센터가 주는 웅장함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공연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에는 주차장, 과거에는 반공의 성지였던 드넓은 광장은 무대를 관람할 수 있는 관객석이 되고, 구조체의 핵심이 되는 벽체는 무대를 위한 스피커와 조명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되고, 크고 강력한 열주 기둥은 일반 구조체에서 열주 사이에 스크린을 띄울 수 있는 레일을 설치하여 시스템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유센터 양쪽에는 조명탑을 설치하여 무대로 조명을 비출 수 있게 하였고, 이러한 변화를 통해 자유센터는 더욱 다채로운 공연과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대지의 변화
넓은 대지를 주차장으로만 사용하던 대지를 들어 올려 대지 윗부분을 자유센터의 캔틸레버보 형상을 따서 디자인 포인트를 두었다. 기존 자유센터와 비슷하게 보일 수 있는 설계 디자인이지만 경사의 차이를 두어 사람들이 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본관(기존 자유센터 건물)과 차이점을 두고 계획하였다. 또한 자유센터로 가는 길이 기존 축대로 막혀있던 곳을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고 바라볼 수 있게 없애고 자유센터로 가는 길과 증축된 건물과 교차하도록 계획했다. 마지막으로, 증축된 건물의 가장 윗 판이 사람들이 앉아서 쉬어가는 쉼터이자 무대를 바라볼 수 있는 좌석이 되고 무대와 스탠딩 구역을 비롯한 무대구성을 계획하게 되었다.
기존 자유센터 내부의 변화
과거 자유센터 내부는 반공을 홍보하는 시설로서, 해외에 나가기 전 반공교육을 받는 장소이거나 정치적인 목적을 가진 시설이었다. 현재 자유센터 내부는 결혼식을 할 수 있는 예식장, 한국자유총연맹의 사무실, 일반 회사의 사무실 등 과거와 전혀 다르게 사용되고 있었다. 반공의 무대에서 문화의 무대가 되기 위해서는 무대공연시설과 무대 공연 요소들이 필요한데, 무대에 필요한 기계 장치실과 특수효과장비실, 무대공연을 위한 무대 용품 창고, 공연자들이 공연을 위해 대기할 공가. 공연과 무대를 관리할 예술감독과 무대감독의 각 실 등 화려한 무대 뒤에서 분주하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들로 구성했다. 또한 무대 지하실을 만들어 특수효과 등을 관리하고 제어해 풍성한 무대를 완성할 수 있게 하였다. 무대 구성실이 되는 것 이외에도, KPOP 문화의 무대가 있는 장소에 KPOP 문화와 관련된 체험형 부스와 전시실을 구성하고 안무연습실과 보컬연습실을 구성해 공연출연자의 연습 공간이 되거나, KPOP 보컬 체험실로 이용될 수 있다. 무대의 백스테이지는 물론이거니와 KPOP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실들을 계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