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연결의 매개체_자유센터
Medium of Connection_Korea Freedom Center
한주호 김겸
◆ 작품개요
자유센터 본관은 존재 자체만으로도 그 시절 시민들의 삶을 강제할 만큼의 정체성을 가졌었지만, 현대 사회에서 자유센터의 그러한 모습은 희미해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유센터는 시민들에게 점점 더 폐쇄적인 공간이 되어가고 있다. 근현대의 중요한 역사를 담고 있는 자유센터가 자연스럽게 시민들의 기억 속에 남기 위해서는 자유센터의 과거 가치를 물리적으로 보존함과 동시에 시민들이 자주 그리고 편하게 올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남산은 도심 속 시민들 누구에게나 쉼터가 되어줄 수 있는 서울의 자연이기에 그 경계부의 위치한 자유센터는 자연과 도심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임과 동시에 시민들의 쉼터가 될 수 있는 발전 가능성이 열려있다. 우리는 자유센터 주변의 성곽길, 남산 길 그리고 동대입구역으로부터 시작되는 북서방향의 도심과 맞닿아있는 길을 적극적으로 연결하여 남산공연예술벨트의 일부가 될 새로운 모습의 자유센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자유센터의 도시, 건물적 연결]
① 도로와의 연결
우리는 기존 자유센터에 접근 방식을 변화시켰다. 차가 진입할 수 있었던 기존의 입구들을 사람 통행이 적은 북동측에 지하주차장으로 계획하고, 도보를 위한 4개의 입구를 형성하여 주변 도로에서 자유센터 안으로 시민들이 쉽게 걸어들어 올 수 있는 길을 만들었다. 또한 1개의 횡단보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부지 양 끝단의 존재하던 횡단보도 간의 간격을 줄이고자 하였다.
② 주변 성곽길, 남산길과의 연결
북측광장을 성곽길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계획하기 위해 성곽길에 맞닿고 있는 자유센터 부지의 레벨을 내렸다. 또한 주변 남산공원길 입구에 존재하는 교차로와의 연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을 재생시키고자 하였다.
③ 앞뒤 광장 간의 연결
남북과 북측 광장의 레벨차로 인해 생겨난 자유센터 부지 내의 단절성을 완화시키고자 했다. 남측 광장의 일부분을 북측광장의 레벨과 맞춰 자연스럽게 연결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시민들로 하여금 하나의 큰 광장처럼 느낄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광장 중간에 배치하고 있는 자유센터의 1층 부의 열주 사이로 3개의 통로를 뚫어 자유센터가 광장 연결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하나의 장치로써 작동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자유센터의 새로운 모습]
우리는 자유센터 부지의 담장을 허물어 시각적, 심리적 단절감을 완화시키면서 새로 추가되는 프로그램들의 규모가 자유센터의 모습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남측광장 지하에 배치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남산공연예술벨트의 일부로서 작동될 자유센터에 가변 될 수 있는 공간들을 계획하여 정해진 프로그램들이 아닌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작동될 수 있게 계획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시민들과 예술인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들에 맞춰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