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남산포디움
THE NAMSAN PODIUM
이태호 김의준
◆ 작품개요
이 자유센터는 한국을 아시아 반공의 성지로 만들자는 결의에서 시작했다. 반공 이념뿐만 아니라 권위를 앞세운 군사문화를 건물로 표출하고자 지어진 국가차원의 기념건축이기도 하다. 그 의미에 걸맞게 자유센터는 웅장함을 내뿜으며 60년이 넘는 긴 세월동안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그 시대 이 건물에 담고자 했던 지배이념은 더 이상 남아 있지 않다. 이제는 해외 여행을 위해 반공 교육을 받을 필요도 없으며 60년 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놀라운 경제적 성취와 민주화를 이뤄냈다.
이제 우리의 사회는 다양한 문화와 예술 그리고 사상들이 모두 포용되는 사회에 살고 있다. ‘다름’은 곧 ‘틀림’이었던 시대를 지나 이제 ‘틀림’은 희미해지고 각자의 ‘다름’이 마구 섞이며 시너지를 내어 폭발한다. 그리고 이는 더 이상 한국 안에 그치지 않고 전세계로 퍼져 나가고 있다. 이런 변화의 과정 속에서 자유센터는 이를 피부로 느끼며 함께 했음이 분명하다. 따라서 우리는 자유센터의 시간을 존중하고 보존하는 동시에 60년 전 이곳이 담고자 했던 그 의미를 변화시키고자 한다. 60년 간 자유센터가 담고 있던 의미과 기념성 그리고 앞으로 60년 간 자유센터가 새롭게 담게 될 이것을 통해 자유센터는 120년의 시간 속에서 모든 변화를 온 몸으로 담고 기억하게 되는 것이다. 반공 교육의 현장이었던 이 자리에서, 모두가 하나의 이념으로 모여야 했던 이 장소에서 우리의 ‘THE NAMSAM PODIUM’ 을 통해 다양한 문화와 예술 사상이 교류하고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 장소로 만들고자 한다.
따라서 우리는 하나의 예술문화 거점을 만들 필요가 있었다. 국립극장이 존재하긴 하지만 그 외의 시설은 도심지 내부에 산개해 있고 시설 집중이 부족했다. 따라서 자유센터를 예술문화지원센터로 탈바꿈 시켜 이곳을 하나의 예술문화 중심지로 만들고자 한다. 인근의 국립극장, 동국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해방촌, 리움 미술관 등 풍부한 문화예술 시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곳에서 양성되는 젊은 예술가들의 창작활동, 해외 진출 및 공연을 위한 지원을 하는 공간이 된다. 또한 시민들에게 남산의 지형에 순응하는 포디움을 통해 거대한 녹지와 휴게 공간을 제공한다. 단순히 예술가들을 위한 공간뿐만 아니라 동시에 예술문화를 체험, 교육, 경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공간의 탄생을 기대한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기존 자유센터의 권위 깨트리기였다. 대칭적이고 균질한 질서의 평면을 해체하여 분절했고 다양한 수직동선과 시각적 연결을 통해 기존의 자유센터의 폐쇄성을 타파하고자 했다. 또한 동선이 모이게 되는 자유센터의 중앙집중화 구조에서 벗어나 3층 로비층의 벽체를 최소화하여 동선의 자유로운 관입을 유도했다. 마지막으로 자유센터의 권위적인 요소를 해체하는 대신 이 거대한 기둥들이 갖고있는 수직적인 입면 요소를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여 김수근 건축가의 디자인적 요소를 이어 받는 동시에 개방성을 살리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