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배경이 되는 자유센터
free center in the background
이인섭 김동윤
◆ 작품개요
1. 장충동 – 자유센터 – 남산
자유센터는 장충동의 끝자락에서 남산과 맞닿는 위치에 있다. 장충단로를 중심으로 주요 시설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자유센터 부지는 본관 앞,뒤 너른 광장과 함께 이 축과 접해있다.도시축과 맞닿는 면적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도로와 면하는 입면 길이가 긴 수평적 형태를 계획했다. 이렇게 확장된 수평적 형태는 넓은 공간이 외부와 접촉되면서 장충단로, 남산공원길과의 연계성을 높인다. 그동안 주차장으로 단절되있던 광장은 자유로운 숲이 되어 자유센터와 함께 남산의 풍경으로 자리잡을 수 있기를 바랬다.
2. 자유센터 재해석 : 김수근의 배치의도
원 배치도의 기초계획은 ‘회의장 – 자유광장 – 자유센터 – 남측광장’으로 이어지는 기다란 축선으로 구성된다. 자유센터 건물의 대칭적이고 반복적인 조형은 이 축선과 함께 반공이념에 바쳐진 재단이라는 엄숙한 아우라를 띠게 된다. 기념비로서 자유센터 본관의 힘은 건물 전후로 설치된 넓은 광장과 연관되면서 축선의 배치에 위치되면서 짙어진다.
자유센터 본관 정면에 위치한 자유광장은 군중들이 모여 자유센터를 올려다보던 상징적인 장소였다. 미래의 자유광장은 일방적으로 자유센터를 올려다보는 도구가 아닌, 자유센터에서 자유광장을 향하는 장소로 제안한다. 변화한 자유광장은 행사의 장이 되거나 돗자리를 펴고 쉬어가는 일상 속 새로운 풍경이 된다.
3. 배경이 되는 건축유산 : 인식보단 경험으로
남산 기슭 위 경사지에 우뚝 선 자유센터는 개발이 거의 진행되지 않은 서울시를 압도적 규모와 형태로 군림했다. 김수근의 자유센터는 반공 이데올로기를 시각화하는 상징적 건축물이다. 이념적 가치는 퇴색되고 한국 근대화의 그늘로 남겨져 있지만 한 시대를 증언하고 있는 자유센터가 앞으로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지 모색했다. 미래의 자유센터는 거대하고 육중한 모습이 드러나기보다 남산과 함께 배경으로 녹아들기 바랬다. 진입의 시작에서 자유센터를 관통하는 수평적 형태는 김수근 원 배치도의 구역을 관통하며 자유센터를 바라보는 형태가 아닌 남산의 풍경을 느낄 수 있는 문화공간을 제공한다.
4. 배경이 되기 위한 과정
1) 기존 본관은 도로축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측면부터 긴 동선을 지나 본관으로 진입할 수 있다.
2) 도로축과 평행한 수평적 형태의 매스를 자유센터 본관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한다. 수평적 형태는 장충단로와의 연계성을 높이며 진입광장, 자유광장, 조각공원 영역을 형성한다.
3) 본관의 측면 벽을 허물고 풍경을 담는 숲 미술관, 수평적 매스는 도서관, 음악당, 카페로 구성된다. 내부에서는 광장을 다양하게 바라볼 수 있다.
4) 자유광장, 조각공원에 회랑을 만들어 영역을 정리한다. 회랑은 다양한 동선을 만들고, 숲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