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남산라이브플랫폼 - 자유센터의 재구성을 통해 가려진 공간 드러내기
Reorganizing the Freedom Center to reveal the hidden space
김예림 노지애
◆ 작품개요
60년 전 자유센터는, 반공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전통 건축의 기둥과 처마, 지붕의 형태, 목구조의 결구방식 등을 콘크리트로 번안함으로써 한국의 정체성을 담은 상징적 공간이었다. 지금, 우리는 경제의 성장과 민주화를 이루었다. 지금의 자유센터는 사회의 중심공간이었던 본래의 기능을 잃어 구세대의 유물로 전락하게 되며 공동체의 중심이었던 구심력을 잃었다. 구세대 유물이 된 자유센터는 결혼식장으로 사용되며 회색빛 콘크리트에 페인트가 칠해지고, 사용자에 의해 일부 변형되거나 증축되면서 상징성마저 퇴색되었다. 사회적 구심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물류센터와 국가권력공간에 의해 단절된 시민의 공간에 문화 프로그램을 도입해 열린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미래를 위한 창작공연센터로서 자유센터
서울시에서는 '남산공연예술벨트계획'을 통해 자유센터를 공연예술창작센터로 계획하여 공연 예술산업의 거점으로 계획할 전망이다. 기존의 자유센터는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현저히 적어 도심에 위치해 있지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며 방문객들과 단절되는 폐쇄성을 갖는다. 기존의 공연창작센터도 공연 관계자나 일부 매니아층을 제외한 타분야 예술가나 일반인들에게는 접근이 어려운 폐쇄적인 문화공간이었다공연창작센터의 점유율을 높이고 열린 문화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공연자와 일반 시민이 공유할 수 있는 활동 중심의 연결이 필요하다.
열린 백스테이지로서의 자유센터 본관
반공의 시대에 자유센터 중앙의 거대한 계단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위쪽에서 후광을 받으면서 등장하는 무대공간이었으며 홀은 그런 무대공간의 백스테이지가 되는 공간이었다. 우리는 무대와 백스테이지라는 자유센터의 특성을 공연자와 일반시민을 위한 무대와 백스테이지로 재구성하는 것을 계획의 시작으로 삼았다. 자유센터의 너른 마당은 새롭게 공연예술문화 클러스터가 될 것이다. 자유센터와 공연예술문화클러스터를 잇는 링크 스테이지에 이벤트적 성격을 부여하여 공연자와 일반 시민이 공유할 수 있는 활동 중심의 문화 공간을 연결하고 공연자와 일반 시민이 함께 이용하는 열린 백스테이지를 기존 정면으로 노출시킨다. 이용자별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열린 백스테이지를 마련하고 24시간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열린 공연문화의 무대로 탈바꿈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