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無關心한 공동체
An indifferent community
박소희
◆ 작품개요
1960년대 박정희 정부시절, ‘반공’을 국시로 삼으며 국가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으며 독재에 반하여 민주화를 열망했던 수 많은 열사들 덕분에 현재의 대한민국이 될 수 있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한국자유총연맹 또한 ‘반공’이 아닌 ‘자유민주주의 수호’로 슬로건을 바꾸게 되었다. 현재 중도층의 정치 무관심과 개인주의 사회로 인해 대한민국 정치가 양극화 되어버린 이 시점에서, 자유센터는 역사를 바로 알고 과거의 수 많은 사람들이 지켜낸 ‘자유민주주의’를 올바르게 이어나갈 수 있도록, 지금보다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청년들이 정치나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때로는 사회참여 활동도 하며 여러 사람들과 자주 소통하고 사회문제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정치’ 이야기는 사회에서 더 이상 금기어가 아닌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청년들과 중도층은 정치문제에 대하여 더욱 능동적인 태도를 취해야 하며 사회는 그것을 지향해야 한다. 이분법적인 정치이념은 버리고 다양한 관점과 의견을 수용할 줄 아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자유센터는 우리가 국가적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던 역사적 가치와 ‘반공’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담기 위한 비인간적인 규모의 스케일과 여러 과장된 장식들 등의 건축적 가치가 있다. 따라서 자유센터가 ‘자유센터’로 존재함으로써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일지에 대한 한 가지 해답으로 ‘정치문화교육센터’를 제안한다. 정치문화 교육센터로써의 자유센터는 기초정치에 대한 교육과 활동을 지원하고 동아리 활동을 통해 공동체 활동과 자유로운 정치활동, 토론활동, 사회참여 등을 독려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60년 전, 자유센터의 존재만으로 ‘반공국민으로서의 삶’을 강제했다면 이제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유는 무엇인지, 자유를 위해 우리는 어떠한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이제는 반공으로써의 자유가 아닌 자유민주를 위한 진정한 자유를 위해 능동적인 삶의 태도를 가져야 한다. 과거의 역사와 아픔을 기억하고 공부하며 내일로 나아갈 힘을 얻기 위해, 조금이라도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오늘 시작하고 노력하기 위해, 2024년 오늘의 자유센터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