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자유센터, 확장하여 그려내다
Freedom center, stretch out
최원제 이동민 국성은
◆ 작품개요
자유센터, 확장하여 그려내다 – 자유센터 영역 확장을 통해 새로운 미래공간 창출
Freedom center, stretch out
[자유센터의 미래방향]
자유롭게 하늘로 뻗은 지붕과, 공정함과 흔들리지 않는 정의를 연상케하는 육중한 기둥, 중심을 관통하는 계단과 복도를 구현한 민주주의 정치적 신전인 이곳은 대한민국 자유센터이다. 한국 전쟁 이후 최초로 국가 차원에서 기획되어, 자유민주주의의 정의의 사상을 건축으로 녹여낸 작품이다. 과거 이 땅에 자유정의를 실현 하기위한 공간으로 설계된 공간은 오늘까지 이어져 앞으로의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현대에 살아가는 우리는 어떻게 역사를 미래로 이어야할까?
[자유센터의 의미부여]
과거 자유센터의 건축적 의미는 전쟁 이후 폐허가 된 우리나라의 “위상과 가치”를 확인받는 기회였다. 이런 노력과 수고로 대한민국은 세계 다방면에 이름을 올리는 나라가 되었다. 이념의 전쟁에서 일어선 우리는 정서적으로 행복한가에 대한 질문을 했다. 이념의 갈등을 넘어선 현대에서는 모순되게도 같은 사회 속 집단 간의 갈등이 고조되어 수많은 분쟁이 일어나는 일상 속에 살아가고 있다. 과거 우린 시민과 가족의 자유를 억압하는 사상에 대항하여 일어섰다. 억압하는 세력으로부터 우린 벗어났음에도 이웃 간의 마찰을 해결하지 못해 서로 대립하고 상처주는 사회를 이어 나가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사회를. 이곳 자유센터에서 선배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서로를 상처 주는 갈등들로부터 자유를 줄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내고 싶었다. 집단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의견과 해결 방법을 적극적으로 제시, 공유, 이해, 전파 할수 있는 공간들의 짜임으로 자유센터를 재구성 했다.
[자유센터의 현대적 개선과 접근성 확보]
현재의 자유센터는 언덕의 지형적 특성과 도심의 문화 지역과의 분리된 공간적 특성으로 인해 인지성과 접근성의 부족해, 현대의 사람들로부터 점차 잊혀지게 된 것이 크다고 느꼈다. 우리가 생각하는 자유센터는 ‘자유’의 의미대로 자유로운 방문과 접근을 통한 사고의 교류를 통해 갈등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을 잇는 것이 중요한 역할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이를 가장 빨리 해결하려 하였다. 본관건물을 유지하고 전후로 넓게 확보된 대지를 적극활용하여 인지성과 접근성을 높이도록 공간을 구성했다.
[자유의 확장된 공간 : 적극적 소통의 장]
자유로운 의견의 교류를 위해서는 물리적, 정서적 공간의 개방성이 적용 되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문적 가치가 미래로 이어지는 지속가능한 건축이 필요하다. 현재 이곳 높은 옹벽으로 인지성이 부족하고, 현대의 가치과 문화를 반영할 공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과거로부터 변화된 사회와 문화를 반영한 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기존의 옹벽을 허물어 행인들의 시선과 발길이 자유롭게 통하는 공간을 계획하고, 각각의 공간을 연결하여 과거와 미래의 가치가 교류하는 공간들로 구성하였다. 주차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는 영역을 활용하여 10m 높이의 공간을 확보 하였고, 열린 집회시설을 중심으로 소통공간과 전시공간을 배치하여 사회적 갈등과, 새로운 정보들을 보고, 듣고, 느낄수 있는 자유의 공간으로 계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