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전 주제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대상(국가유산청장상)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

Freedom Center, New Value as a Sanctuary of Memory

김승현 송경찬 정원우

◆ 작품개요

장충동의 이야기에서 시작된 본 계획안은 지역의 역사적인 성격을 계승하여, 기억되어야 하는 이들의 안식처로서 자유센터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다. 반공의 산물이었던 장소는 기억해야 할 이들을 기리는 장소로 변화하여 남산의 숲을 통해 자연 친화적 추모와 일상적 휴식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될 것이다. 이 장소에서 죽은 자를 기리는 방식은 남산의 초록빛 자연과 어둠을 비추는 빛으로 사람들에게 기억될 것이다.

[역사의 흔적을 가지고 있는 장충동]

여러 역사적인 가치를 지닌 유적과 기념물들이 남아있는 장충동은 지금의 장충단 공원에서 비롯하여 나라의 충신들을 기리는 장소로 이용되었다. 또한, 장충동은 남산과 동대문을 잇는 주요 핵심 가로로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근대화 및 산업화를 지나오며 역사 속의 위국헌신을 기억하는 흔적들이 남아있다. 이렇듯 장충동에는 호국영령을 기리는 숭고한 장소라는 기억을 가지고 있다.

[잠식과 회복, 지속 가능성의 공간 남산]

남산은 과거 군부정권 시대를 거치며 무질서한 개발로 경관이 잠식되었었다. 서울시는 남산의 생태환경 및 자연경관을 회복하기 위하여 지난 30여 년간

‘남산 제모습 찾기’와 ‘남산 르네상스’ 등의 정책을 추진하며 남산의 모습을 되찾으려 노력해 왔다. 오늘날에도 ‘지속 가능한 남산 프로젝트’ 정책을 통해 생태를 회복하고 자연과 사람들이 어울릴 수 있는 남산으로 변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과포화된 국립묘지와 수도권 배치의 필요성]

장충단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현충원이었다. 장충단은 역사적인 사건들을 거치며 지금의 장충단 공원이 되었고, 국립묘지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 국립서울현충원이 다른 자리에 생겨났다. 오늘날 전국 12개소의 국립묘지가 설립되었으나, 참전용사를 비롯한 유공자 수에 비해 안장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상황이다. 한편 참전용사 비율이 가장 높은 수도권에는 부정적인 인식과 제한적인 용도로 인해 국립묘지가 들어서기 어려운 상황이다.

[장충동의 역사와 남산의 생태를 잇는 자유센터]

지금의 자유센터는 의미를 잃고 상징만 남긴 채 어디에도 연결되지 못하고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장충동이 가지는 역사와 문화적인 가치를 되살리고, 자연 친화적인 안장 방식을 통해 기존 국립묘지의 한계를 뛰어넘으며, 남산의 자연 회복에도 일조할 수 있다. 또한 개방적이고 편안한 공간으로 변화하는 자유센터는 기존의 국가 수호적인 상징을 보존한 채, 휴식과 안식의 장소로서 새로운 연결점이 될 것이다.

2024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대상_국가유산청장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