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전 주제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대상(내셔널트러스트상)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

Seoul Cinema Park : The Surviving Freedom Center

안다혜 안성우

◆ 작품개요

[기존의 자유센터]

서울시 중구 장충동에 위치한 자유센터는 그 대비감과 기념비적인 모습으로 주목받았다. 과거 반공의 상징으로 세워졌으나 시간이 흐르며 그 의미를 잃어버렸다. 자유센터는 오직 콘크리트로 지어졌으며, 이제는 기능과 상징성을 모두 상실한 채 쓸쓸히 남아있다. 현재 웅장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앞뒤로는 넓은 주차장이 자리 잡고 있으며,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부속건물과 덧대어진 창, 덧칠된 페인트가 눈에 띈다. 이 건물은 8미터 이상의 높이 차이가 나는 지형에 위치하여 북쪽과 남쪽이 건물로 연결되어있다. 이는 눈에 띄는 입면의 차이를 만들어낸다. 더 낮은 지대에는 지하층이 형성되었고, 북쪽 마당에서 남쪽 마당으로 이어지는 3개층 높이의 거대한 계단이 있다. 또한 남북쪽 모두 실내 공간으로 들어가기 전 한 줄의 외부 공간인 켜를 갖고 있다. 자유센터는 이 고유한 입지와 구조적인 특징을 살려, 새로운 기능과 상징성을 부여받아 시민들에게 의미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되어야한다.

[서울의 중심지, 남산의 입구 : 문화와 자연의 교차]

서울 중구 장충동2가에 위치한 자유센터는 남산의 문턱에 자리 잡고 있으며, 도심의 분주함과 자연의 한가함이 만나는 독특한 지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시적 맥락에서 자유센터는 영화의 중심지로 불리는 충무로 인근에 위치하며, 맞은편 대지에는 비슷한 규모의 국립극장이 위치해 있다. 이곳은 문화와 자연이 함께 머무를 수 있는 이상적인 곳이다. 사람들이 물리적으로 즐길 수 있는 녹지공간인 공원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며, 영화, 독서, 전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문화공간으로서도 적합하다. 자유센터의 미래는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장소로서 시민들과 방문객들에게 서울의 새로운 상징적 장소로서 영화공원이 되고자 한다.

[잔존하는 자유센터]

유발하라리는 그의 책 ‘사피엔스’에서 자유라는 개념은 인간이 만들어낸 창조물이며, 각자가 정의하는 바가 다르고 그 형태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자유는 비현실적인 개념으로 현실에서 온전히 경험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서 생겨난다. 영화 또한 그러하다. 영화는 사람들에게 비현실적이면서도 물리적, 심리적 무한성을 느끼게 해주는 창작물로, 평면적이지만 다차원적인 내러티브를 통해, 영화의 현실과 비현실적인 면모를 보면서 우리는 우리 자신의 현실과 비현실도 탐색할 수 있다. 한편으론 영화는 시간의 예술이자 이미지 몽타주의 예술인데, 조르주 디디 위베르만이 그의 책 ‘잔존하는 이미지’에서 말했듯이, 이미지는 끊임없이 소멸하고

재출현하며, 재소멸한다. 비현실적이고 초현실적인 영화 속 이미지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계속해서 재해석되고 관객의 기억 속에 잔존하며 우리를 새로운 세계로 이끌어 상상력과 창의성을 자극하고, 자유를 표현하고 경험하는 수단이 된다. 우리의 기억 속 옛 자유센터는 새로운 이미지로 잔존하고, 그에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부여받는다.

[자유센터의 미래 : 서울 영화 공원]

기존 자유센터의 원형을 유지하면서 남북을 잇는 거대한 축을 가시화하고 공간화한 새로운 매스를 삽입한다. 남북의 입면성이 강조되었던 건축물에 동서로의 새로운 입면성을 부여하여 단절된 남쪽 마당과 북쪽 마당을 연결한다. 기존 자유센터의 내부 공간을 해체하고 활용성이 부족했던 넓은 대지에 재배치하여, 관통하는 매스를 따라 재조립한다. 대지의 높이 차를 유연하게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직동선을 추가하여 건물의 안팎을 다양한 레벨로 넘나들며 기존 자유센터의 모습을 관람 및 탐험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자유센터의 실내를 활용하는 부분을 제외한 외부 공간은 기존 구조를 유지하면서 필요한 곳에 보이드를 만들어 어둡고 단단한 공간을 개방적이고 밝은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재조립되는 극장들은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되며, 기존 자유센터를 활용한 1층 로비 공간에서 매표 후 기다란 플랫폼으로 연결된다. 이 극장들은 영화를 보고 난 후 건물 내부 홀이 아닌, 건물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람들은 어두운 영화관에서 밝고 넓게 펼쳐진 외부 공간으로 쏟아져 나오게 된다. 이는 새로운 시퀀스를 제공하여 색다른 씬을 보여준다. 서울 영화 공원은 도심 속 자연에서 휴식을 취하고, 현실과 비현실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장소가 된다.

2024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대상_내셔널트러스트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