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우수상(도코모모인터내셔널상)

자유-생산-센터

Freedom-Procuding-Center

서준혁 조홍래 이하영

 작품개요

‘자유센터’는 1960년대 발전국가 시기에 강력한 군부 정권 하에서 세워졌다. ‘아시아반공연맹’의 총회를 위한 시설 확보라는 표면적인 명분 뒤에는 ‘반공 이데올로기 주입’이라는 목적이 있었다. 건축 공간과 구성은 그것을 위한 일종의 장치로서 작동하였다. 남쪽의 대지를 통해 진입하면 마주하는 거대한 로비, 건물과 북쪽 대지를 연결하는 -굳이 있어야 하나 싶은- 넓은 중앙계단, 그곳을 통해 내려오면 펼쳐지는 넓은 주차장 영역, 군홧발 같은 기둥과 어딘가 짓누르는 듯한 곡면 지붕까지. 모든 것이 ‘하나의 시퀀스, 하나의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것만 같다.

건축 행위도 그때의 모습과 닮아있다. 무책임하게 들어올려진 대지, 둘러쳐진 옹벽, 온 대지를 덮어버린 아스팔트까지, 폭력적인 방식이다. 자유센터가 놓여진 남산에서 그 방식은 더욱 치명적이었다. 남산의 자연스러운 등고와 녹지 흐름에 대한 섬세한 배려 없이 계획된 대지는 자유센터를 ‘자유롭지 못하게’ 만드는 증폭제와 같았다.

우리는 국가에 의한 이념의 생산과 생산된 이념의 국민으로의 주입이라는 강압적이고 일방적인 흐름을 뒤집고 생산의 주체를 시민에 돌려줌으로써 자유센터에 자유를 불어넣겠다. 국민 위에 군림하듯 굳건히 서있던 자유센터 본동은 시민에 의해 생산된 것들이 다시 시민들이 향유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작동한다. ‘이념의 주입’으로 대변되는 주차장 영역은 ‘시민생산공간’과 ‘아카이빙 홀’로 조성되어 일방적 수용의 공간이 능동적 생산-저장의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시민을 위한 플랫폼의 자유센터 본동과 시민생산공간-아카이빙 홀은 시민 사회 속에서 생산과 저장, 공유라는 가치를 보여주는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새롭게 행해질 건축행위는 서울, 특히 유동인구가 많은 남산이라는 공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대지 전체가 시민을 자연스럽게 내부로 유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비워졌던 남북쪽의 주차장 영역은 남산의 녹지 흐름을 연결하는 ‘시민 마당’으로 계획된다. 자유센터 본동은 과거 효율에만 기대어 만들어진 구성을 타파하고 외부의 흐름을 들여오기 위해 가능한 많은 반외부 공간을 두었다. 이 반외부 공간은 시민 마당과 연계되어 대지 안에서의 시민-녹지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불필요한 장식적 요소였던 중앙 계단과 곡면 지붕은 철거되거나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였다. 대지 곳곳에 계획되는 램프와 계단식 조경, 승강기는 대지와 건축 공간을 누구나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요소로 작동한다.

2024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우수상_도코모모인터내셔널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