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우수상_(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 회장상

어제를 담아 내일을 전해요. : 잊혀진 과거로의 여로를 통해 다가올 미래를 맞이하는 근현대 기념관

The memorial hall for the future to come through the journey into the forgotten past

오재훈 박정은 진호민

작품개요

자유센터는 시대의 이념과 정신에 의해 존재가치를 지닌다. 특히 남산은 구한말부터 대한민국 정치/경제/문화적 역사가 점철 된 상징적 공간이며, 자유센터는 그 긴 이야기의 일부분으로 남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자유’라는 단어는 수십년을 거치며 우리에게 각기 다른 시대의 정신을 만들어 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시간들을 거치며 자유를 탄압하는 존재들과 맞서 마침내 진정한 자유를 쟁취했는가?

 여러 대소사를 지나며 치열한 하루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과거는 어쩌면 그저 사소한 사실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각 시대의 이념들은 당시의 집권자들과 기득권의 정치적 도구로서 사용되기 일쑤였고, 그런 불편한 진실을 우리는 외면하거나 묵인했다. 자유센터는 그것이 태어난 때에 멈춰서 점차 사람들에게 잊혀졌고, 확실히 사회 속에서 수명을 다 한 듯 보인다. 그러나 자유센터는 대과거와 현재 사이의 역사 속에서도 왜곡되거나 편집된 역사에 오염되지 않은, 그것이 태어난 시기의 시대 이념을 그대로 드러내는 건축적 자산이다.

본 계획은 외부와의 시간적 간극이 존재하는 공간을 이용, 우리의 과거를 보다 더 순수하고 사실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공간으로 재구성하면서도 잊혀졌던 공간에 역사를 불어넣음으로써 사람(삶)과 공간의 시공간적 만남을 도모한다. 미싱링크를 하나씩 연결하며 거꾸로 시간을 따라가다 보면 마침내 폐허였던 공간은 그 끝에서 온전한 모습으로 미래의 방향성에 대한 해답의 열쇠를 손에 쥐고 우리를 기다리고 있으리라 확신한다.

1. 자유센터에 존재하던 축을 기준으로 공간을 좌우로 나누었다. 권위적이고 압도적인 남-북 방향의 대칭축에 의해 형성된 건물의 이미지는 대지의 서측 장충단로의 두 진입부를 기준으로 ㅁ자와 ㅁ을 감싸는 ㄷ자 형태를 띤 두개의 공간으로 나뉘게 된다. 두 진입부에서 각각 전시, 커뮤니티 공간이 시작/끝맺음 하며, 시대의 권위를 상징하는 건물의 북측 입면은 공간들을 모두 향유하고 난 뒤 바라 볼 수 있게 계획했다.

2. 남/북측으로 존재하는 열주들은 각각의 스케일을 가지며 자유센터의 정체성 그 자체인 입면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다. 우리와 직접 상호작용한다는 점에서 이 주열들은 그대로 보존,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로 다른 공간을 연출했다. 북측 유휴지를 일부 지하화 하여 자유센터의 서측 1-2층공간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전시동선이 형성되고, 현대화된 지하공간에서 모더니즘 건축 체계 공간으로 넘어갈 때 북측의 열주는 아케이드가 되어 하나의 갈림길이 된다. 여기서 관람자는 더 먼 과거로의 역행을 그만두고 다시 현실로 돌아올 수 있다. 한편 자유센터의 동측 1-2층 슬라브를 철거하여 하나의 오픈 된 공간을 만들어주고 단차로 나뉘었던 남/북측의 외부공간을 물리적으로 잇는다. 여기서 각 주열은 크고 작은 프레임이 되어 내,외부 공간의 연계를 시각적으로 분리한다.

3. 역사를 이야기하는 공간 말고도 자유센터는 대중을 그러모으는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최소한의 건축적 활동으로 넓은 마당을 유지한 자유센터는 자유센터의 동측 공간을 중심으로 공원을 형성, 북측 외부공간에서는 전시의 시작과 끝이 이뤄지기도 한다. 북측의 끝에 존재하는 광장은 초기 계획에 있었던 회의장의 배치를 존중한 방문자 센터와 상호작용하며 권위적이고 상징적인 광장보단 시민 친화적인 광장으로의 역할을 기대한다. 남측의 공원화는 목적없이 찾아온 이용자들의 쉼터가 되어 잊혀졌던 자유회관과의 길이 재구성되는 것을 제안, 마침내 자유센터의 계획은 완전히 탈바꿈한다.

2024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우수상_(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 회장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