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우수상_(사)새로운문화를실천하는건축사협의회 회장상

場 : 반공의 산실 자유센터, 남산과 공생하다. (남산 방문자센터 계획안)

The Freedom Center, a Cradle of Anti-Communism, Coexists with Namsan.

최예종 신건섭 정다은

◆ 작품개요

남산의 장충동 일대 지역은 일제 시대와 군사정권 동안 어울리지 않는 옷을 입어왔다, 일제는 조선의 역사가 담긴 장충단에 자신들의 군인 동상과 박문사를 설치함으로써, 조선의 정체성을 약화하려 했고, 광복 후에 일제의 흔적은 사라졌음에도, 군사정권의 힘을 표방하기 위한 자유센터와 같은 건물들이 남산에 자리 잡게 되었다. 남산은 과거 한양의 방어기지부터 현재의 남산타워까지 함께 공존해있다. 이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역할로 역사,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때문에 군사정원 이후 외인아파트, 군부대 등을 철거, 이전하고 경관을 회복하거나 녹지로 복원하였다. 이러한 남산의 제모습을 찾는 목적과 노력에 동감하며, 본 계획안에서는 이 주제를 화두로 삼아, 자유센터의 가치 보존의 문제와 함께, 남산과 공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계획안을 통해 자유센터의 가치가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이전의 60년과는 다른 삶을 살아가길 바란다.

[잊혀진 반공의 상징]

자유센터 일대에는 남산과 주변시설을 찾는 방문자와 산책과 등산을 목적으로 장충단로를 이용하는 주민들이 많음에도 자유센터는 그들로부터 잊혀져 있다. 높은 축대로 인해 접근이 어렵고,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서 자유센터는 서측면에 가야지만 그 모습을 드러낸다. 또한 자유센터에는 주변시설과 연계된 시설이 있거나, 형태의 아름다움으로 존재감을 어필하는 건축물도 아니다. 현재는 특정한 목적에 국한되어, 필요에 의해 변형되고 있는 목적성이 불분명한 장소에 불과하다. 이렇듯 현재는 내부적으로도, 건물의 외형적으로도 자유센터 가치 보존의 방향과 적합하지 않기에, 자유센터가 남산에 어울리는 옷으로 바꿔 입는다면, 사람들의 발걸음이 모이고, 자연스럽게 자유센터가 가진 가치가 앞으로도 기억될 것으로 전망한다.

[자유센터 : 남산의 새로운 시작점]

자유센터 부근의 남산 진입로는 케이블카 다음으로 많은 수의 유동인구가 있다는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 자유센터가 남산의 새로운 시작점이 된다면 자유센터의 가치 보존과, 남산과의 공존이라는 두 가지의 목표를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남산은 서울의 중심으로, 많은 이가 찾는 장소지만, 남산이 가지는 역사•문화적 의의와 가치를 알리는 시설이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남산은 자연경관으로서의 가치로만 기억되고 있다. 그렇기에 자유센터에 남산을 찾는 사람들을 위한 방문자센터의 역할을 부여하려고 한다. 방문자센터를 통해, 뚜렷한 정체성이 없는 자유센터가, 남산을 찾는 이들의 시작점이자 남산의 가치를 알리는 거점으로 변화하여, 앞으로의 60년을 살아갈 가치를 창조하려고 한다.

[자유센터의 선형적 공간구조 변형을 통한 행위(이벤트)의 장 형성]

자유센터의 평면은 세로축의 계단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이고 영역의 실들이 양옆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평면에서 복도는 이동을 위한 역할로만 쓰이게 되고, 닫힌 실들은 규정된 공간 안에서 정해진 행위만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행위가 규정되지 않아, 다양한 이벤트를 기대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계획안에서는 목적이 불확정적인 광활한 대지에 작은 영역들을 설정하여 행위가 모일 수 있는 공간을 의도적으로 형성한다. 대지에 순응한 각 영역은 독립적이거나 폐쇄적이지 않고,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능성을 위해 공간을 한정적으로 정해버린 평면에, 새로운 영역을 혼합하여 기존의 닫힌 영역을 개방시키고 공간의 간섭을 만들어 기존 구조의 한계점을 극복한다. 각 실은 내•외부의 행위가 모이는 공간으로 작용하게 되고, 복도는 단순한 이동통로에서 각 영역의 이벤트가 흘러가고 겹쳐지는 역할로 확장된다.

2024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우수상_(사)새로운문화를실천하는건축사협의회 회장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