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특선

관계 회복의 시작, 자유센터

The beginning of relationship recovery, Freedom Center

박시현

◆ 작품개요

외로운 자유센터

1964년 이 땅에 앉은 자유센터는 외로이 장충동을 지켜왔다. 같은 나이의 타워호텔과 1973년 길 건너 국립극장이 있긴 했지만, 도로로 인한 물리적 단절, 서로 다른 축과 용도로 인해 건축물 간의 관계는 없었다. 그렇게 수십 년이 지난 지금. 베니스 헌장(기념물과 사적지의 보존, 복원을 위한 국제헌장)과 동갑인 자유센터는 제대로 관리되지 못한 채 낡은 모습으로 수많은 자동차 사이에 끼어 있다. 유명 건축가가 설계했다는 것을 차치하더라도 자유센터는 근대건축의 상징적 형태 그 자체만으로 존재의 가치가 있다. 한 시대의 자본과 노동력 등 많은 에너지가 응축된 이 건축은 남산이라는 장소성과 함께 보존되면서 다시 태어나고 시민 모두를 위한 새 시대의 열린 건축으로 거듭나야 한다.

복원(Restoration), 보존(Preservation), 보전(Conservation) 그리고 자유센터와의 관계

프로젝트 진행에 앞서 이 세 단어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했다. 복원은 사라진 것을 되돌리는 것, 보존은 현재 상태를 있는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 보전은 온전히 보호하고 유지하는 것으로서 일부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정의가 필요한 이유는 정확한 복원과 보존이 선행되었을 경우에만 보전 단계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자유센터와 같은 연도에 만들어진 베니스 헌장 4, 5, 6조의 내용으로부터 기인한다. 자유센터에서 무엇을 복원하고 보존하여 보전해 나갈 것인지 발굴하고 판단한 것을 바탕으로 본 프로젝트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지형과 맥락

장충동은 남산 아래쪽 완만한 경사의 땅에 자리잡고 있다. 자유센터는 땅의 고저차를 활용하여 지형에 맞도록 계단식으로 구축된, 당시 대형 노출 콘크리트 건축물로서는 이례적인 특징을 갖는다. 자유센터를 기점으로 약 60년간 많은 건축물들이 만들어지면서 남산이 파괴되는 동안, 이들 간의 도시 맥락적 연결과 건축물 간의 관계는 형성되지 못했다. 따라서 자유센터는 이 일대 흩어진 건축물들을 통합하는 기준점의 역할을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남산 아랫자락의 끊어진 보행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으면서 사람 중심의 공공 공간으로 재구성한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 속에서 남산의 잊혀진 장소성을 회복하고 사람과 자연, 그리고 건축과 도시 공간이 공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가능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공연예술의 중심, 남산

장충동에는 이미 강한 컨텍스트의 시발점이 될 수 있는 자유센터와 국립극장이 있지만 서로 관계가 없어 컨텍스트가 생기지 못하고 있다. 두 건축이 직접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장소성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국립극장만의 한국적인 프로그램은 매력적이다. 한국의 전통공연예술을 위한 공간이라는 프로그램은 우리 고유의 문화를 복원하고 보존하고 보전해 나갈 수 있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국립극장은 실내 극장 위주라서 우리의 전통 공연 방식인 ‘야외 공연’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실무진들이 연구, 기획을 하기에 적합한 공간도 아니다. 자유센터는 이러한 국립극장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받아들여 장충동을 한국 공연예술의 중심지로 만들어낼 수 있다.

한양도성의 흔적

자유센터에 활용된 한양도성의 벽돌들이 현재 위치한 부분은 표면적으로 두 곳이 있다. 하나는 자유센터에 바로 접한 외부 계단이고, 다른 하나는 도로에 접한 현 주차장의 축대이다. 외부 계단으로 사용된 부분은 발굴된 역사적 사료를 건축적 요소에 끌어들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주차장 축대로 사용된 부분은 걷기에 좋은 인도도 아니고, 건축적 가치가 높은 시도라 보기 어렵다. 따라서 계단은 그대로 두고, 주차장 축대로 사용된 벽돌만 들어내서 새롭게 제안된 공간인 공연예술 아카이브의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요소로 활용하는 새로운 순성길을 제안한다.

2024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특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