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특선

? 센터(자유에서 자유로 공유에서 공유로, 자유센터 리모델링 계획안

? CENTER

박민용 김태건 진성원

◆ 작품개요

남산 동쪽, 국립극장 인근에 자리한 자유센터는 과거 반공 이념을 내세운 쿠테타 정권의 태생적 한계를 극복고자 했던 지배 정당성의 상징적 건축이다. 상징적인 반공의 성지는 이제 도심 속으로 퍼져가는 문화공간의 새싹으로 재탄생하고자한다. 장충동 일대는 국립극장, 남산, 대학교, 장충공원, 호텔 등과 같은 문화적으로 풍부한 잠재성을 지닌 도시이다. 하지만, 자유센터는 장충단로와 경사의 물리적 경계로 인한 단절과 1m 남짓한 인도마저 끊겨있어 섬처럼 고립되었다. 이제는 도심과 연결될 수 있는 다리를 통해 그 가치를 담을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해야한다. 자유센터의 자유는 반공이라는 이념을 앞세워 정치, 교육, 문화적으로 사람들의 자유를 억압한 모순된 자유라는 관점에서 재해석을 전제로 계획하였다. 과거의 억압된 자유센터는 현재의 유휴공간이 아닌 앞으로 저마다가 가지는 자유센터가 된다. 재해석된 자유센터는 개인이 있고 함께 흘러가는 사람을 중심을 한 공간을 가진다.

[시대의 흐름에 따르는 랜드스케이프형 공간 계획]

보존의 가치는 과거의 이로운 것들을 이어 받아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방향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보존은 과거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이로운 것들을 남기고 미래를 위한 방향으로 발전될 때 그 가치가 드러난다. 그러한 점에서 자유센터는 개인과 개인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엄숙함과 상징성을 가지지만 높은 단차로 인해 분절을 야기하고 각각의 크고 단순한 광장만을 형성한다. 그래서 우리는 분절된 넓은 땅을 랜드스케이프 공간을 통해 하나로 아우르고 초개인화라는 다가오는 미래에 맞춰 사각형이라는 단위 공간을 내주었으며 이들은 결국 다시 자유센터에서 함께 공유하며 하나로 모이게 된다. 즉 자유센터 앞에서 외치던 모순된 자유는 자유센터를 중심으로 사람들 저마다의 자유로 한발자국 다가간다.

[근대건축의 보존]

과거의 건축물이 가지는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관찰하고 직접 경험해야한다. 일부만 이용하던 본관은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이를 남측의 선큰광장을 통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고 올려다 보던 너른 광장에서는 기억을 공유하고 서로 다른 문화를 즐긴 모두가 한데 어우러질 수 있도록 바꿨다. 더불어 상징적인 캐노피는 나란히 서서 볼 수 있는 모두와 함께 경험을 공유하는 장소가 된다.

2024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특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