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특선

역사가 흐려진 장소에 미래를

To give a future to a place with a blurred history

김재윤

◆ 작품개요

남산의 역사 작게는 서울, 나아가 대한민국을 설명할 수 있는 장소성입니다.

남산은 국가의 안녕과 백성의 복을 기원하는 수호의 산이었으며, 식민지화와 국가 분열의 중심이었고 해방 후에는 항일운동과 정부의 정치선전, 반공 운동, 공포통치의 거점으로 활용되며 대한민국의 중요한 역사가 일어난 장소입니다. 현대에 이르러 남산은 “남산 옛 모습을 되찾기 운동”과 ‘남산 르네상스’를 통해 다시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이처럼 남산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이용의 주체가 끊임없이 변화 해오던 장소입니다.

현재의 남산의 장소성은 산재되어 있으며 이것을 인식할 공간이 부족합니다.

현재 남산은 산책로와 공원으로 사용되며, 시민들의 일상 속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남산의 어두운 역사는 망각한 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일이 발생한 이유 남산의 역사적 장소들이 흔적만 남아 있거나 알아보기 어렵게 변형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서울 전체적으로도 어두운 역사를 다루는 공간이 부족하여, 사람들은 남산의 어두운 면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장소를 연결하는 건축적 산책, 다크 투어리즘과 거점공간으로의 자유센터를 제안합니다.

현재 자유센터의 건축적 가치는 여전히 위압적인 형상만을 간직하며 근대의 시간 속에 머물러 있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해 과거를 온전히 경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현재 산재하여 있는 역사를 연결하고 모을 수 있는 거점 공간으로 변화시킵니다. 또한 역사를 온전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장소에 방문하여 공간을 체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자유센터에서부터 산재하여 있는 장소를 이어주고 서사를 만들어 이야기에 몰입을 시킨 다음 역사적인 장소로 이끌어 주는 건축적 산책, 다크 투어리즘을 제안합니다.

산재되어 있는 장소를 연결하여 투어코스를 만들고 자유센터가 가진 켜를 재구성합니다.

먼저 산재되어 있는 장소들을 정리 나열한 후 하나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것들 끼리 연결하여 하나의 투어코스를 만듭니다. 이후 기능적으로는 자유센터를 구성하는 공간의 켜를 재정리 하여 뒤엉켜져 있던 기능과 성격을 정리하고 새로운 역할을 부여 하고 과거의 자유센터를 경험시켜 줄 수 있는 권위주의 적인 건축 장치들을 재구성한 다음에 광장은 다시 일상의 공간으로 돌려주고 이를 차지하고 있던 어두운 역사들과 자동차는 지하로 내려 과거를 기억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합니다.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과거의 기억에 접근할수 있도록 돕는 건축 공간들을 배치합니다.

자유센터를 다시 일상공간으로 돌려준다 하더라고 이것을 사람들이 일상속에서 인지 할수 없다면 다시 사람들에게서 잊혀질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상속에서도 자연스럽게 전시공간으로 유입될수 있는 건축공간들을 배치합니다.

2024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특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