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특선

기억의 경계를 허물다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memory

박상선 최민섭 강유승

◆ 작품개요

서울 남산의 한켠, 그곳에 자유와 역사의 숨결을 간직한 자유센터가 있다. 60년의 세월 간 자유센터는 무관심 속에서 힘을 잃은 채 건물만 남아 노후의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 자유를 위해 희생했던 우리의 과거를 마주하며 잊혀진 이야기를 되새기고, 미래 세대에게 소중한 가르침을 주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한다. 수많은 이들의 희망과 고통을 함께 했던 자유센터는 새로운 가치를 부여받아 남산의 푸르른 자연 속에서 많은 사람들의 안식처가 될 것이다.

[기억의 경계를 허물다.]

콘크리트 보와 기둥열주는 곧 자유센터의 상징이 된다, 보존시킨 기둥열주로부터 그리드 축을 생성하고 남북 대지에 연장해 “연결”의 가치를 생성한다. “복원”과 “보존”을 통해 자유센터의 고유한 멋을 살리고, 이에 시민들이 모여들면서 자유센터의 가치는 빛을 발할 것이다. 열주에서 추출한 그리드 축을 연장시켜 남북을 연결하는 추모의 벽을 구현한다. 중앙 계단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벽에 남측으로 관통하는 총 7개의 계단을 생성하고 “연결”의 가치를 완성한다. Land Scape에는 그리드의 흐름에 랜덤한 틈을 생성하여 시각적 매력을 향상함과 동시에 자연스러운 접근이 가능하게 한다.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되는 추모의 벽은 유가족뿐만이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도 강력한 공간이 될 것이다. 연장된 열주 축에 의해 남,북의 공간이 연결됨으로써 기억의 경계는 허물어진다.

[모두가 함께하는 추모의 공간]

소중한 사람을 기억하는 것은 모두가 공감하는 매개체이며, 곧 추모의 수단이 된다. 지금까지 추모의 인식이 어둡고 엄숙한 느낌이라면, 우리는 새로운 방식의 추모 프로그램을 이용해 모두가 함께하는 추모의 공간을 만들 것이다. 본관을 관통하는 계단은 통로의 영역을 넘어서 다양한 추모방식을 체험할 수 있는 하나의 공간이 된다. 웹사이트를 이용한 디지털스크린 추모와 꽃을 놓을 수 있는 벽, 추모글을 직접 써 붙이는 메모리얼 벽이 각 그리드에 형성되어 있다. “Void”로 각 층 공간을 의도적으로 생성하여 수직적 연속성을 확보하고 기존의 코어를 전 층으로 확장하여 동선을 개선한다. 이는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모뉴멘탈의 결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무겁고 답답한 자유센터에 새로운 로직을 제안하고 있다.

[차가운 기억의 형태를 간직하다.]

우리나라에서 장충동은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대한민국의 역사와 애환을 잘 드러내는 몇 안 되는 지역이다. 자유센터를 포함하여 호국의 길은 우리나라에서 찾아보기 힘든 장충동만의 소중한 가치이다. 그러나 장소성의 가치를 무시한 채 높고 큰 건물을 이용한 도시개발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과도한 도시 정비는 남산 녹지의 훼손과 동시에 장충동만의 가치를 떨어트린다.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하여 남산 녹지복원과 동시에 과거에서 이어지는 추모관을 구현하여 장충동의 희소성을 강화하고자 한다.

2024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특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