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특선

현재적 성찰, 놀이의 자유센터

Contemporary Reflection, Freedom Center of Play

박동민

◆ 작품개요

[현재적 성찰]

건축은 시대의 거울이다. 우리는 건축을 통해 당시의 문화를 이해하고, 사건을 기억하며, 때로는 반성을 통해 지나온 시대를 성찰한다. 시대를 보여주는 건축은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며 당시를 성찰할 수 있는 요소들이 이후 시대의 사람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보존되어야 한다. 경제개발이 진행된 1960년대의 건축은 국가 주도하에 진행되어 시대를 보여주는 주요한 매개체였다. 하지만 자유센터는 국가 이데올로기의 장치로서 당시 사회를 보여주는 건축적 요소가 보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능적 측면에서 사람들이 이용하지 않는 시설이 되어 당시의 모습이 전달되지 않고 있다. 자유센터에 담긴 60년의 세월이 현대에 연장되어 유의미한 장소가 되기 위해 ‘현재적 성찰, 놀이의 자유센터’를 제안한다.

[놀이 공간으로서의 자유센터]

자유센터는 도심 속 섬과 같은 고립된 형상이 아닌 일상적 장소로서 현대의 행위를 담는 장소로 구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개념인 ‘놀이’는 보편적 원칙에 의한 기계적 사고를 탈피하고 일상적 사고를 유발하여 주체와 객체의 관계를 물리적으로 나타낸다. 자유센터의 강직한 조직 속에서 놀이를 담기 위해 기존의 체계 속에서 가능성을 발견하고 자유로운 공간으로 구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자유센터 이전의 대지가 가진 축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자유센터의 중심성과 느슨한 관계를 맺는 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선형 공간은 체계를 훼손하지 않는 자유로운 놀이의 공간과 관계를 맺는다. 이들 간에 발생하는 사잇공간은 실내와 달리 규격화 되지 않는 놀이 공간으로 이용자가 새롭게 조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유센터로 연장되는 이러한 흐름은 본관과 연결되는 순환형 램프를 통해 이전에 없었던 시점과 층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제공한다.

[현재적 성찰, 놀이의 자유센터]

자유센터는 60년전의 모습과 변함없이 그 자리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새로운 축과 놀이의 전략을 통해 다분화된 주변환경은 자유센터를 향한 현재적 시점을 제안한다. 권위주의적인 과거의 형상에서 벗어나 시민들이 뛰어 놀고 함께 즐기는 공간으로 재구성된 자유센터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놀이의 공간이다.

2024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특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