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최우수상(건축공간연구원장상)

남산문화센터 _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공간

N.C.C (Namsan Cultural Center) _ Where Past, Present, and Future Converge

박경빈 강다현

작품개요

건축은 형태와 사용자의 필요가 일치할 때 제대로 기능한다. 남산의 장충동 골짜기 위, 자유센터 본관(이하 자유센터)과 함께 여러 건축물들이 함께 존재하고 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건물과 월드 케이팝 글래스 홀은 각각 사무공간과 다목적 홀에 맞는 형태로 적절히 기능하는 반면, 자유센터는 그렇지 않다. 자유센터의 조형미와 과장된 열주와 캐노피와 같은 건축형태는 택배 물류와 자동차 극장에 적합하지 않다. 자유센터의 본래 프로그램은 국민들에게 체제 이념을 주입하고 하나된 국민을 만들기 위한 기념비적인 성격을 띤다. 이 프로그램에 맞게 자유센터 COMPLEX의 건축물들은 강력한 단일 축선 위 과장된 건축 언어로 설계되었다. 만약 이러한 건축 형태와 프로그램이 모두 현재에도 유효했다면 자유센터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모습일 것이다.

이처럼 건축은 프로그램과 형태가 맞지 않을 때 쇠퇴한다.

그러나 자유센터는 최초의 국가적 건축이라는 인문학적 가치와 근대 건축물로서 지니는 본래의 건축적 가치가 있으며, 현실의 프로그램에 맞는 새로운 내외부 공간으로 리노베이션하여 주변 건물들과 함께 남산이라는 도심 속 자연에서 시민들을 위한 공공의 공간으로 새롭게 기능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자유센터 일대를 형태와 프로그램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형태적 측면에서의 해석]

자유센터의 형태적 가치는 초기 배치안과 같은 강력한 단일 축선 위 대응하는 건물들과 그 사이 광장들로 인해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현재 자유센터 일대의 건축물들은 전혀 다른 맥락 속에서 존재한다. 따라서, 새롭게 자유센터에 대응하는 신축 건물을 우선 배치하고, 기존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건물과 경사 대지 아래의 공간을 활용하여 자유센터 정면을 중심으로 광장을 형성한다. 그리고 넓은 광장을 중심으로 모든 공간을 재구성하여 자유센터 정면부로 진입하게 함으로써 정면부 입면의 가치를 드러낸다. 주차공간의 경우 대지의 경사를 이용하여 지하주차 계획을 하고, 녹지이자 가장 유효한 보행자 동선인 남산 성곽길과 광장을 연결하여 보행자 중심의 광장을 형성한다. 또한, 자유센터 후면부의 글래스 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신축 건물의 내외부 공간은 자유센터와 광장을 중심으로 모두 연결된다. 자유센터의 경우 가치 있는 외부 입면은 보존하고 내부 공간을 프로그램에 맞게 재구성한다. 그 외 제대로 기능하고 있는 자유센터 일대 건축물들은 모두 보존 혹은 리노베이션하여 활용한다.

[프로그램적 측면에서의 해석]

오랫동안 장충동 골짜기 일대는 단순히 물리적 거리를 넘어 시민들과 거리가 있어 왔다. 도심 속 자연으로서 남산의 많은 건축물은 시민들로 하여금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이처럼 단절된 장충동 골짜기의 흐름을 이어주기 위해서는 근대 반공 사상과 같은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건너편의 국립극장과 함께 강한 공공성을 띠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자유’라는 과거 건축의 컨셉처럼 현재에도 누구나 자유롭게 방문하여 일상을 보낼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하나된 국민이 아닌 다양성 있는 국민을 필요로 하는 현재, 예술과 문헌 정보 사이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생기는 새로운 공간인 아키비움, 남산문화센터를 제안한다.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공모전(최우수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