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의 가치 보존과 지역 재생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of the old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main building
■ 공모전 개요

■ 심사위원장 심사평
2025 근대도시건축디자인 공모전의 제출된 많은 작품을 살펴보면서 참가자들의 엄청난 열정과 함께 할 수 있었다. 작품들이 저마다 다양한 관점과 개념을 제시하여 풍성하게 차려진 식탁을 향유하는 기쁨을 누렸다. 그렇지만 ‘이 작품을 꼭 뽑고 싶다!’라고 생각되는 작품이 없었다는 솔직한 소감도 덧붙이고 싶다. 제시된 디자인 영역이 너무 넓고, 도시-건축 프로그램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며, 대지에 얽힌 맥락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과녁을 세우기 어렵고 조준을 하기는 더욱 어려웠을 것이다. 참가자들의 어려움이 고스란히 심사위원에게도 전해져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심사를 진행했다.
문제가 어렵고 복잡했기 때문에 단순한 형태나 뚜렷한 개념으로 공간을 정리한 안들이 심사위원의 눈을 끌기 쉬운 구조였다. 복잡한 상황을 단순한 구조로 정리하는 것이 문제 해결에 용이하고 설득력을 갖기 쉽다. 그러나 그 방식으로 인해 소외되거나 무시되는 공간과 가치가 필연적으로 생긴다. 특히 보존과 관련된 프로젝트에서는 현 존재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요청된다.
대상 수상작 ‘회랑, 공존의 선을 긋다’는 회랑이라는 강력한 도시-건축적 장치를 통해 대지 전체를 통합하고 기존 건물과 새로운 프로그램의 결합하는 제안이다. 아이디어는 단순하지만 대지의 복합적 상황을 잘 풀어낸 작품으로 평가한다. 회랑과 같은 매개적 건축공간이 우리 도시에 가장 필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보존 대상인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을 회랑의 일부로 종속시킨 것이 이 프로젝트의 큰 약점이다. 회랑은 회랑으로서 그 존재를 가지면서도 보존해야 할 건축물을 그대로의 맥락 속에서 존중하는 대안을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 다른 대상 수상작 ‘기억의 침잠, 해방의 공간’ 은 비움의 전략을 잘 구사한 작품이다. 채우거나 더하는 방식도 디자인이지만 비우는 행위 또한 중요한 디자인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낮은 높이의 건물을 제안하고, 대지가 지닌 지형을 적절히 이용하여 겸손한 풍경을 제안했다. 밀도가 높은 번화한 도시 한가운데 고요하고 평화로운 빈 공간이 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시민들에게 위로가 될 것이다. 그렇지만 이 대지에 투사되고 있는 도시적인 압력과 프로그램의 절박한 요구에 대해서는 정면대결을 피한 느낌을 받았다.
특별상 수상작 ‘이중의 풍경’은 주거와 문화공간 콤플렉스를 제안했다. 주거를 프로젝트에 포함한 것이 특별히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두개의 긴 아파트 사이에 문화공간 프로그램을 전개한 구성으로, 강력한 건축적 모뉴먼트를 제시한 것이 눈길을 끌었다. 그러나 보존되어야 하는 본관의 풍경과 맥락이 훼손된 점, 그리고 오픈 스페이스를 아파트의 입면이 독점하는 배치방식에 동의하기 어려웠다. 도시의 가장 중요한 오픈스페이스를 도시의 가장 의미있는 건축이 점유해왔던 도시의 역사를 기억하기 때문이다.
입선
이음길 _ 사람을 잇고, 순간을 잇다.
Linkage Road _ Connecting people, connecting moments.
장지원 장수호 한재현
1. 도시 속 잊힌 땅, 다시 잇기
도심의 한가운데, 오랜 시간 사람들의 발길이 끊긴 채 방치된 이곳은 마치 도심 속 단절된 섬과 같았다. 오래된 근대기 공공시설이 있던 자리였지만, 지금은 사람의 흐름에서 소외된 채 기억 밖의 공간이 되어 있었다.
본 프로젝트는 이 잊힌 장소에 ‘이음’의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과거와 현재, 사람과 공간, 도시와 자연을 잇는 새로운 경로를 만들어내며, 단절을 치유하고 기억을 회복하는 도시 리노베이션 전략을 제안한다.
2. 설계 목표: 이질적 조화를 통한 기억의 재생
1) 단절된 도시의 재봉합 기존 도로망과 무관하게 단절되었던 대지에 새로운 보행 흐름을 연결해 도시의 이음선을 만든다.
2) 시간의 켜를 보존하는 설계 오래된 건물은 제거하거나 복원하는 방식이 아닌, 현대 건축과의 병치를 통해 다시 인식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 열림의 공간 전략 개방된 공공 프로그램과 광장, 회랑을 통해 외부를 유입시키고, 사람들의 자발적인 이용을 유도한다.
3. 공간 구성 전략
중앙보행축과 열린 광장을 중심으로 동선이 형성되며, 프로그램은 문화/교육/휴식/커뮤니티 기능으로 배치된다.
주요 동선 축선상 회랑과 수직 교차축의 틈 공간은 자연스럽게 본관을 마주하도록 유도한다.
프로그램 간의 경계는 엄격하게 나뉘기보다 중첩된 흐름을 허용하여 유연한 이용이 가능하다.
4. 기억의 중심, 본관동 리노베이션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상징적이고 구조적인 중심은 바로 ‘본관동’의 재해석이다. 오랜 시간 이 장소의 기억을 품어온 본관은 단순한 보존의 대상이 아니라, 기억을 감각하는 공간으로 다시 설계되었다.
보존 방식: ‘비움’이 아닌 ‘채움’ 본관 앞을 막거나 지우는 대신, 얇은 필로티 구조와 회랑을 통해 현대 건축을 덧입힘으로써 이질적 조화를 이끈다.
외부–내부–외부의 중첩 본관 주변은 회랑 공간으로 감싸져 있으며, 내부에서 외부로, 다시 본관으로 이어지는 이중적 시선 구조를 만든다. 사용자는 회랑을 따라 걷는 동안 자연스럽게 본관과의 거리, 시선,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감각의 공간화 이중적인 흐름과 빛의 변화, 재료의 대비를 통해 기억은 감각화되고, 장소는 살아 있는 유산으로 재탄생한다.
5. 경계의 재정의와 열린 관계
이음길은 물리적 경계를 허물고 시간의 층위와 장소성의 복원을 목표로 한다.
본관동을 중심으로 열리는 광장, 과거 구조물의 스켈레톤을 활용한 열린 건축, 그리고 주변의 자연 요소와 연계된 회랑 공간은 모든 요소가 서로의 틈이자 연결점이 되도록 한다.
본관은 여전히 중심이지만, 이제는 바라보는 대상이 아닌, 걷고 머무는 경험의 장소로 기능한다.
6. 결론: 이음의 건축, 기억의 재생
이 프로젝트는 과거를 단절된 유산으로 남기지 않고, 현재의 삶 속으로 불러오는 방식을 제안한다. 오래된 구조와 새로운 틀, 잊힌 장소와 새로 열린 길, 그리고 도시와 사람 사이에 건축적 틈을 통한 ‘이음’의 길을 만들어낸다.
이음길은 그렇게 시간을 잇고, 사람을 잇고, 순간을 잇는 건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