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의 가치 보존과 지역 재생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of the old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main building
■ 공모전 개요

■ 심사위원장 심사평
2025 근대도시건축디자인 공모전의 제출된 많은 작품을 살펴보면서 참가자들의 엄청난 열정과 함께 할 수 있었다. 작품들이 저마다 다양한 관점과 개념을 제시하여 풍성하게 차려진 식탁을 향유하는 기쁨을 누렸다. 그렇지만 ‘이 작품을 꼭 뽑고 싶다!’라고 생각되는 작품이 없었다는 솔직한 소감도 덧붙이고 싶다. 제시된 디자인 영역이 너무 넓고, 도시-건축 프로그램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며, 대지에 얽힌 맥락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과녁을 세우기 어렵고 조준을 하기는 더욱 어려웠을 것이다. 참가자들의 어려움이 고스란히 심사위원에게도 전해져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심사를 진행했다.
문제가 어렵고 복잡했기 때문에 단순한 형태나 뚜렷한 개념으로 공간을 정리한 안들이 심사위원의 눈을 끌기 쉬운 구조였다. 복잡한 상황을 단순한 구조로 정리하는 것이 문제 해결에 용이하고 설득력을 갖기 쉽다. 그러나 그 방식으로 인해 소외되거나 무시되는 공간과 가치가 필연적으로 생긴다. 특히 보존과 관련된 프로젝트에서는 현 존재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요청된다.
대상 수상작 ‘회랑, 공존의 선을 긋다’는 회랑이라는 강력한 도시-건축적 장치를 통해 대지 전체를 통합하고 기존 건물과 새로운 프로그램의 결합하는 제안이다. 아이디어는 단순하지만 대지의 복합적 상황을 잘 풀어낸 작품으로 평가한다. 회랑과 같은 매개적 건축공간이 우리 도시에 가장 필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보존 대상인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을 회랑의 일부로 종속시킨 것이 이 프로젝트의 큰 약점이다. 회랑은 회랑으로서 그 존재를 가지면서도 보존해야 할 건축물을 그대로의 맥락 속에서 존중하는 대안을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 다른 대상 수상작 ‘기억의 침잠, 해방의 공간’ 은 비움의 전략을 잘 구사한 작품이다. 채우거나 더하는 방식도 디자인이지만 비우는 행위 또한 중요한 디자인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낮은 높이의 건물을 제안하고, 대지가 지닌 지형을 적절히 이용하여 겸손한 풍경을 제안했다. 밀도가 높은 번화한 도시 한가운데 고요하고 평화로운 빈 공간이 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시민들에게 위로가 될 것이다. 그렇지만 이 대지에 투사되고 있는 도시적인 압력과 프로그램의 절박한 요구에 대해서는 정면대결을 피한 느낌을 받았다.
특별상 수상작 ‘이중의 풍경’은 주거와 문화공간 콤플렉스를 제안했다. 주거를 프로젝트에 포함한 것이 특별히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두개의 긴 아파트 사이에 문화공간 프로그램을 전개한 구성으로, 강력한 건축적 모뉴먼트를 제시한 것이 눈길을 끌었다. 그러나 보존되어야 하는 본관의 풍경과 맥락이 훼손된 점, 그리고 오픈 스페이스를 아파트의 입면이 독점하는 배치방식에 동의하기 어려웠다. 도시의 가장 중요한 오픈스페이스를 도시의 가장 의미있는 건축이 점유해왔던 도시의 역사를 기억하기 때문이다.
입선
THE OTHER FILTER
– 정제의 개념을 확장한 감각 기반 문화 실험 공간
윤예은 박하린
1. ‘정제’에서 ‘필터’로, 공간적 사유의 전환
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과거 생물학적 검역 기능을 수행하던 시설로 유해 병원체를 차단하고 생명과 환경을 보호하는 '정제(정화)' 시스템의 중심지였다. 본 프로젝트는 이 ‘정제’의 개념을 디지털 정보 환경의 ‘필터링’ 구조와 연결하여 정보 과잉과 필터버블 현상이 지배하는 현대 사회에서 새로운 문화 실험 공간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The Other Filter'는 과거 검역공간의 상징성과 장소성을 보존하면서 개인의 감각과 자율적 선택에 기반한 정보 수용과 재해석의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2. 대상지의 장소성 및 역사적 가치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은 건축가 이광노 교수가 설계한 지상 3층의 철근콘크리트조 근대 건축물로, ‘T’자형 평면, 수직 창의 리듬, 타일 마감, 콘크리트 부조 등에서 모더니즘 건축의 조형성과 상징성을 잘 보여준다. 1970년대 안양이 시로 승격되던 시기, 도시 남부로의 행정 축 이동과 함께 세워진 이 건물은 도시의 역사, 행정, 정보 생산의 중심지로 기능하였으며 현재는 지역 문화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2018년부터는 도심 속 휴식처로, 2023년에는 공공예술 프로젝트의 주요 거점으로 활용되며 공간의 공공성과 문화적 잠재력을 입증하였다.
3. 현대적 문제 인식: 디지털 필터링과 정보의 단절
과거의 검역 시스템이 생물학적 유해 요소를 ‘정제’했다면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은 알고리즘을 통해 정보를 자동으로 ‘정제’하는 시스템, 즉 디지털 필터링 시스템으로 변화하고 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선별된 정보에만 노출되어 타인의 감각, 다른 세계의 시선으로부터 단절되는 ‘필터 버블’ 현상에 직면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단절 구조를 뒤집는 '다른 필터(The Other Filter)', 즉 낯선 감각과 새로운 시선의 유입을 허용하는 공간을 제안한다.
4. 공간 개념 및 디자인 전략
⬥ 보존과 확장의 공존
기존 건축물의 구조적 상징성과 조형성을 최대한 보존한다. 특히 주 출입구 캐노피, 수직 요소의 반복, 캔틸레버 2층 등은 원형 그대로 유지되며, 그 수직적 리듬을 확장해 새로운 축과 그리드를 형성한다. 이 축은 공간 전체를 아우르는 정보 흐름의 질서로 작용하며, 사용자 동선을 유기적으로 안내한다.
⬥ 매스 프로세스 및 공간 구성
기존 건물 틀 위에 그리드 확장, 매스 조합, 박스형 공간을 구성하고, 축을 중심으로 다중적인 매스들이 중첩되며 void 공간을 형성한다. 이 void는 감각 자극, 낯선 관계, 비일상적 체험을 끌어들이는 유입구이자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틈이 된다.
⬥ 프로그램 계획: 필터를 해체하는 9개의 실험 공간
공간 내에는 총 9개의 프로그램이 상호작용하며 배치된다. 사용자는 경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각과 해석을 따라 이동하며 정보와 타인, 예술을 마주하게 된다.
-Memory Café: 이름 없는 기록과 기억을 음미하는 전시형 카페
-Memory Cube: 영상과 오브제를 통해 시간의 켜를 재구성하는 몰입 공간
-Zero Space: 디지털 기기 없이 최소화된 감각환경 속에 내면과 마주하는 무(無)의 방
-Filter Studio: 디지털 보정 없는 빛의 색감을 기록하는 셀프 스튜디오
-Unfiltered Gallery & Drawing Lab: 감정 기반 드로잉과 전시로 이루어진 좋아요 없는 예술 공간
-Raw Voice Room: 꾸밈없는 음성 고백을 녹음하는 셀프 레코딩 부스
-Sense Lab: 빛, 온도 등의 감각 자극을 통해 감정과 문화의 관계를 해석하는 실험실
-Data Cube: 디지털 문진표와 AR 인터랙션을 통해 문화 소비 패턴을 진단하는 공간
-Sound Cube: 무작위 정보가 흘러나오는 헤드셋이 배치된 청각적 데이터 공간
이외에도 Reading Space, Work Studio, Locker Room, Open Library 등의 서브 프로그램이 주변을 구성하며, 사용자의 선택적 체류를 지원한다.
5. 선택과 감각의 회복을 위한 공공 실험
The Other Filter는 과거 검역 시스템이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수행한 ‘정제’ 기능을 현대적으로 확장하여 감각·정보·시선의 편향을 해체하고 다시 선택하게 하는 공공 실험실이다. 이곳에서 사람들은 예측된 콘텐츠 대신 우연히 마주한 감각과 타인의 흔적을 통해 자신의 감각을 재구성하고 사회와의 접점을 새롭게 설계하게 된다. 정제된 필터가 아닌, 개방된 여과의 층 위에서 우리는 다시 묻는다: "우리는 무엇을 보고, 듣고, 기억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