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청주시청사 활용방안‘
2012년 주민투표를 거쳐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이 결정되고 2014년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였다. 1896년 충청도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분리되었고, 1908년에 충주에 두었던 충청북도의 관찰부가 청주로 이전되면서 청주는 명실상부한 충청북도 제1의 도시가 되었다. 2014년 이후 꾸준히 성장한 청주시는 인구 100만에 가까운 도시가 되었다.
청주시의 성장사는 우리나라 근현대사와 맥을 같이해 왔다. 특히, 1960년대 경제성장기에 지어진 구청주시청사는 해방 이후 지역 행정의 중심지이자 보릿고개를 넘어 경제도약을 꿈꾸는 시민들의 여망과 실천이 담긴 곳이었다. 청주시는 충청북도에서는 처음으로 민간 건축전문가 제도를 도입하였고, 2020년에는 총괄건축가 제도를 도입하여 청주의 공공건축과 도시환경을 개선해오고 있다.
2020년 7월에는 오랜 준비를 거쳐 청주시청 새 청사 국제공모를 실시하여 ‘ㄷ자’ 형태로 청주시청 본관동을 감싸안는 듯한 노르웨이 건축가 스노헤타의 안을 선정, 새 청사 건립을 추진해 왔다. 당시 청주시청 새 청사 국제공모는 구시청사를 보존하면서 청주의 미래 비전을 담아내는 국제공모전으로 공모전의 준비에서 진행 그리고 결과에 이르기까지 국내 건축계의 주목을 받았다. 건축계에서는 구시청사가 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의 역사와 청주시민의 삶 그리고 건축사적 가치의 빼어남에 주목했고, 지역사회와 문화재청은 새 청사를 짓더라도 청주시의 성장사를 온전하게 담고 있는 구시청사의 보존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이다. 노르웨이 건축가 스노헤타의 당선안은 청주시민의 여망을 훌륭하게 담아냈고, 시는 100억에 가까운 설계비를 지급하며 설계를 마무리해 가고 있었다.
그러나 새 시장의 당선으로 상황은 비관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정치권의 지형변화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삶은 지속되어야 하는데 새 시장은 당선된 후 청주시청 본관동이 왜색이 짙다는 이유로 설계가 마무리된 현상설계 당선안을 백지화하고 새로운 공모를 통해 구시청사를 철거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청주시민은 물론 각계의 전문가와 문화재청에서도 청주시청사 본관동은 청주시와 청주시민의 삶과 현대사를 담고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아 문화재 등록을 권고했지만, 새 시장의 철거 의지는 바뀌지 않고 있다.
2022년 6.1지방선거 이후 본관을 철거하겠다는 새 시장과 시민의 삶과 역사가 담긴 시청사를 보존해야 한다는 시민사회와 전문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첨예하게 맞붙었다. 현실은 불행히도 강력한 행정력을 가진 시장의 의지가 관철될 순간에 직면해 있다.
구청주시청사 보존을 위해 청주시민과 각계 전문가와 뜻과 행동을 함께 해왔던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은 2023년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의 대상지로 ‘청주시청사’를 선정했다.
그동안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철거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정치적 판단에 의해 철거된 조선총독부 본관과 옛 서울시청의 훼손 등 역사유산의 주인인 시민사회와의 대화와 논의를 거치지 않은 정치적 결정에 의한 철거는 건축물의 보존이 단순히 건물의 물리적 상태 유지 이상의 의미가 있음을 전문가들이 동시대를 함께하는 시민들과 어떻게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아가야 할 것인가라는 과제를 남겨주었다.
구청주시청사뿐 아니라 청주시청사가 위치한 곳은 청주 도시구조의 핵심으로서 청주 근현대사를 같이한 모든 이의 삶이 담긴 기억의 장소이며, 이와같은 건축과 장소는 우리가 사는 도시 곳곳에 산재해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또 다른 과제, 구청주시청사는 기존의 해법을 넘어서는 또 다른 과제를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
모두가 주목했고,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것 같았던 설계공모 당선안이 조만간 이뤄질 구청주시청사의 철거와 함께 사라질 운명을 맞이한 시점에서 구청주시청사를 2023년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대상지로 삼은 것은 구청주시청사의 보존에 이구동성으로 뜻을 모았던 시민사회와 행정, 그들의 뜻에 적극 호응했던 국내외 건축가들과 그들의 작업, 철거에 직면하면서도 시민의 삶의 현장을 지키고자 노력했던 지난 시간과 노력이 쉽게 잊혀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와 같은 사례는 언제든지 다시 반복될 수 있고, 어쩌면 전국적으로 도미노 현상을 불러올지도 모른다. 개발의 시대를 넘어 오늘을 사는 건축가라면 보존과 철거의 현장에서 끊임없이 공존의 해법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을 맞닥뜨리게 된다.
공모전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건축을 업으로 삼는 분들은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에 대한 가치 판단과 논쟁의 전개과정을 살펴보며, 건축가가 무엇을 놓쳤고, 우리가 무엇을 더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결과를 제시해주기 바란다.
시청이라는 공공업무공간의 한계를 넘어 자유로운 용도와 기능을 추가 제안할 수도 있다. 옛 본관동을 보존하는 태도와 새로운 건축이 만나는 방법을 통하여 응모자의 철학이 드러나면 더욱 좋을 것이다. 제한된 용도를 넘어 창의적인 쓰임과 해법을 제안함으로써, 기성세대가 제출하였던 공모안들과 보존을 위한 노력의 한계를 뛰어넘기를 기대한다.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입선
OO(空共)시설
GongGong Facility
김신진 ㅣ 강민서 ㅣ 유규상
◆ 작품 개요
- ‘OO(空共)시설’, 왜 ‘흐름’인가?
기존 청주 시청사는 해방 이후 민간 건축가가 설계한 건물이자 경제성장기에 지어진 건축물로 시민들의 삶과 우리나라의 근현대사가 담겨 있는 공간이다. 비록 현재 청주 시청사는 철거되었지만 우리는 청주 시청사의 역사가 흐르고 시민들의 삶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History flow’ - 청주 역사의 흐름, ‘Community flow’ - 소통의 흐름, ‘Ground flow’ - 공간의 흐름, ‘Connect flow’ - 주변 건물과의 흐름, 총 4가지의 건축적 흐름을 고안하였다.
구 시청사는 청주의 행주형 지리를 반영한 배를 컨셉으로 설계되었다. 이 개념을 새로운 설계안에 확장하여, 청주를 감싸는 우암산과 무심천의 지형을 단순화하여 흐르는듯한 곡선을 건물에 적용하고, 원도심들을 이어주는 무심천을 건물에 적용하여 Office Zone과 Experience Zone으로 나누어진 두 건물을 잇는 다리를 형상화하였다.
- 청주 시청사, 어떻게 바꿀 것인가?
청주 자유 게시판에 의하면, 시민들은 휴식, 문화 공간 확보와 기록문화도시로 발전할 것을 희망하였다. 이에 (구)청주 시청사는 청주와 구시청사의 역사가 담겨있는 다목적 역사 기록관으로 용도를 변경하였다.
본관동에서 무리한 증축으로 구조적 결함을 일으킨 4층은 제거하였으며, 필로티 구조에 적용된 아케이드 아치와 행주형(行舟形) 입지를 반영하여 배를 연상하게 하는 발코니의 난간, 돛대를 형상화한 옥탑을 핵심 디자인 요소라고 판단하여 보존하였다. 또한 정면과 후면의 기존 벽과 창문을 커튼월로 변경하여 개방감을 주고, 기존 내부 공간들은 일부 변경하되, 2층 시장실과 비서실을 보존하여 체험 전시 공간을 마련하였다.
- ‘OO(空共)시설’이 무엇인가?
우리는 기존 시청사의 역사를 현대의 시민들에게 어떻게 되돌려주고 공공업무공간의 한계를 넘어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을지 고민하였다. 과거에서부터 현재, 미래의 흐름을 우암산과 무심천의 곡선이 반영된 건축 형태를 통해 표현하고, 문화도시 청주의 미래 또한 막힘없이 흘러갈 수 있는 매스를 계획하였다.
기존 시청사의 핵심 디자인 요소였던 아케이드 아치와 배를 연상하는 돛대를 신축 건물의 외부에 사용하여 부각시켜 인지성을 높였고, 본관동과 중첩되는 공간의 입면은 커튼월을 활용하여 기존 시청사의 입면을 따랐다. 또한 기존 시청사를 강조하기 위한 동선을 유도하는 페이빙, 신축 시청사의 대상지를 둘러싸는 매스 형태를 통해 건물 간의 관계성을 유지하였다.
새로운 시청사는 두 개의 건물로 나누어 시청과 의회 서로의 업무 영역을 침해하지 않도록 공간을 분리하고, 시민을 위한 편의시설 또한 업무 공간과 분리하여 업무에 지장이 없도록 계획하였다. Experience Zone에는 청주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청주 문화체험 프로그램과 시민들이 요구한 시설들을 계획함으로써 기존 시청사의 역할 수행과 청주시민들의 삶을 채울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