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남산포럼
The Forum: Aroudn Nam-san
김범수
◆ 작품개요
남산자유센터는 마치 찾아오는 손님 없어 먼지 쌓인 묘비처럼, 탄수차에 석탄이 떨어져 선로 위에 멈춰 차갑게 식어버린 거대한 증기 기관차처럼 느껴진다. 건축물이 담고 있는 이야기와 가치는 분명하지만, 존재의 의미가 퇴색 되어버린 지금, 거대한 몸집을 움츠린 채 시민사회와 경험을 공유하지 못하고 남산 언덕에 숨어있는 듯하다. 이 거대한 건물의 건축적 가치가 보존되기 위해선 새로운 국가적 시대정신을 대변하는 한편, 시민과 교감하는 새로운 존재의 의미를 찾아야 할 필요를 느낀다.
자유센터가 새롭게 담을 프로그램으로 시민에게 열린 포럼(Forum)건축을 제안한다. 그리스의 아고라, 로마의 포룸에서 계승된 이 건축은 열린 토론을 할 수 있는 광장인 동시에 다양한 프로그램들(공연, 체육, 커뮤니티)을 수용하여 시민들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현대에는 도쿄국제포럼과 바르셀로나포럼과 같은 예시들이 있다.
국가재건과 경제발전 시대의 ‘반공’은 철 지난 키워드이자 상해버린 양분이다. 민주주의 시대의 새로운 키워드와 양분은 ‘갈등’이다. 억눌렸던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이 표면 위로 떠 오르며 대한민국을 이분법 사회로 만들어 우리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풍부한 논의를 통해 양분으로 전환할 자리를 충분히 만들지 못하고 있는 듯 보인다. 레거시 미디어는 충분히 다양한 논의를 하기 어렵다. 투쟁과 시위는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할 대화 창구가 되지 못한다. 자유센터에 회의장, 전시장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남산 전체가 하나의 포럼으로써 작동하게 된다. 남산을 둘러싼 도심 버스와 수도권 전철 시스템 그리고 서울역은 남산포럼과 전국을 연결해 준다. 남산 곳곳에 배치된 관광, 역사, 체육, 공연, 학습 프로그램들은 둘레길과 자연을 통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포럼의 다양한 기능을 충족해 준다.
자유센터가 남산포럼을 위한 마지막 퍼즐이 되는 것을 상상한다. 자유센터는 건축적 가치를 보존하며 시민사회와 경험을 공유한다. 그리고 우리 사회의 갈등은 자유센터를 통해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한 양분으로 전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