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하나의 이념에서(To) 개인으로부터(From)
From one ideology to the individua
이채현 오세창 이선인
◆ 작품개요
2024년 현재, 그리고 미래 세대에게 진정한 자유는 ‘~로부터(To) 벗어나는 것’만이 아니라 ‘~로(From) 향한 자유’이다. 미래의 자유센터는 개인의 가치를 인정하고 각자가 자신의 이념이나 생각을 표현하고 대변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해야 한다. 과거의 권위적이고 위압적인 축을 통해 획일화된 이념을 수직적으로 주입시키던 공간을, 중심축과 ‘아고라’를 중심으로 다양한 개개인의 생각과 이념을 모아 자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공간으로 변모시키는 것이 우리의 건축적 목표이다.
[문화와 예술로 표상되는 오늘날의 자유]
대한민국이 민주적 자유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과거부터 이어져 온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고 이를 문화예술로서 승화하는 과정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더욱 선명해졌다. 표현의 자유와 개인의 이념을 존중하는 문화예술은 대한민국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 온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장충동 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의 축을 확장해 자유센터 또한, 개인의 자유를 향해 항해하는 문화예술의 공간이 될 예정이다.
[시민들을 향한 계단의 연장]
도시와 시민을 향해 확장되는 자유센터의 오랜 가치인 계단을 길게 연장하고 광장으로 확장했다. 건물을 관조하기 위해 존재하던 방대한 땅은 계단과 함께 주차장에서 앞마당으로 전환되었다.
[휴먼스케일로 관입되는 투명박스]
관입되는 매스들은 앞마당의 층간경계를 허물고 수직적으로 확장시킨다. 이는 오늘날 대중들의 자유로운 예술의 현장을 투명하게 담아내고 시각적으로 연계하며, 대칭적인 조형미와 웅장한 스케일로 공간을 권위적으로 나누었던 자유센터에 다양한 크기의 공간들을 제안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다채롭게 만들었다.
[목적을 잃은 공간에서 가능성을 지닌 공간으로]
기능과 용도를 상실한 채 단일건물의 숭고미만을 관조하는 일방향적 구조를 가진 자유센터에 창작, 광장, 교육, 전시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자유센터는 프로그램에 따른 매스들의 중심을 잡아주며 내외부가 긴밀하게 연계되어 대상지가 하나로 존재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