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자유센터: 시간을 아카이빙 하다. 시간의 아카이빙이 되다.
Freedom Center: Archiving Time. Becoming an Archive of Time.
최희우 예진영
▲작품 개요
남산이 가진 다양한 역사와 기능은 시간의 켜가 쌓이면서 생겨난 것들이다. 자유센터도 그 중 하나이다. 자유센터가 남산이라는 대지 안에서 또 하나의 시간의 켜를 쌓을 수 있는 역할이 된다면 어떨까? 자유센터가 가지는 의의를 기반으로 사람들이 남산에서 또 하나의 의미 있는 기능을 누릴 수 있고, 자유센터라는 장소에서 머무르며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자유센터는 근현대 대한민국 건축의 아카이빙 그 자체이다. 우리는 자유센터가 가진 ‘기념비성’을 기반으로 한국 근현대 건축의 전시 및 수장 기능을 더해 과거의 기념비성만을 머금고 멈춰있는 것이 아니라 아카이브라는 역할로 현재와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한다. 건축이 가진 스케일은 일반 미술품을 그 자체로써 수장하는 방식으로 아카이빙할 수 없다. 때문에 다양한 과거와 현재의 건축을 전시하는 공간과, 전시했던 건축이 담고 있는 이야기를 기록물로 변환시켜 수장하는 방식의 아카이브 공간을 자유센터에 제안한다. 아카이빙 그 자체인 자유센터에 전시와 수장이 반복되며 근현대 대한민국 건축의 시간의 켜가 쌓인다.
▲자유센터의 보존과 재해석의 태도
1. 기념비성 및 역사성 보존, 그리고 아카이브 기능의 접목
현재 자유센터는 한국 자유 총연맹 본부, 월드 K-POP센터, 물류센터, 각종 오피스, 식당 및 상가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는 기존의 자유센터가 지니고 있던 정체성을 잃고 필요에 따라서 각기 다른 기능들이 일관성 없이 혼재되어 있는 모습이다. 때문에 우리는 자유센터가 하나의 아카이빙 그 자체가 되도록 하고, 이 장소에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가 쌓일 수 있는 아카이브라는 기능을 제시하여 자유센터의 기능이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지속가능한 기능을 제안한다.
2. 기존 배치 계획안의 회복 및 경사 대지 활용에 대한 재해석
자유센터 계획안에서부터 포함되어 있었던 옥상정원과 광장 배치, 그리고 의미 없이 페인트로 덮인 외벽 마감을 초기 설계안과 같도록 회복시켜 자유센터가 아카이브 그 자체로써의 본 모습을 제대로 간직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북쪽 광장은 사람이 다니는 길과의 레벨 차로 인하여 생기는 옹벽으로 인해 접근이 불리하다. 옹벽을 제거하고, 자연스럽게 레벨이 상승하는 계단 광장을 조성해 열린 시선과 열린 동선으로 사람들이 자유센터의 전면부를 이전보다 용이하게 경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재해석한다.
3. 자유센터가 주는 경관의 보존 및 새로운 매스와의 조화
자유센터는 크게 두 레벨을 가지고 대지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북쪽의 광장은 지하 레벨로써의 활용에 대한 가능성이 큰 땅이다. 자유센터 본관의 경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새로운 건물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법으로 지하 레벨을 적극 활용하고자 했다. 자유센터가 제시하는 축선과 반대되는 진입 동선으로 인해 전·후면 파사드가 주는 무게감과 대칭성을 느끼기 어렵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다란 램프 동선을 제시하여 축을 강조시킴과 동시에 자유센터의 전면부로 도달할 수 있도록 동선을 의도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