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남산 문화 예술 창작소
the National Center for Creation of Culture and Arts
한은영
◆ 작품개요
60년동안 장충단로에서 함께해온 자유센터는 세월이 지남에도 불구하고 반공 이념의 물리적 잔재로써 그것의 건축적 장소적 가치와는 다르게 별다른 기능을 부여받지 못한 채 존재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자유센터가 더 이상 구세대의 유물이 아닌, 어떤 모습으로 미래를 함께할지 고민하며 근현대 건축가치를 바탕으로 한 보존방안과 함께 새로운 공간 아이디어를 나타내고자 한다.
남산자락 근처에 기념비적 건축물이 가지는 상징성 및 랜드마크성을 바탕으로 현재 자유센터를 주변의 국립극장과 연계하여 단순 공연장에서 더 나아가 문화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기획,생산,전시될 수 있는 공간프로그램으로 창작지원센터 및 문화예술 전시관을 제안한다. 각종 정치ㆍ종교 이념에서 벗어나 오랜역사의 땅을 딛고 일어나는 자유와 축제의 공간은 사람들로하여끔 문화적 화합의장을 기대해볼 수 있다.
자유센터의 근현대적 건축 가치는 당시에 대형 노출콘크리트 구조물이 거의 없었다는 점과 함께, 그것의 물성을 바탕으로 기념비성을 자아내는 강렬한 조형미이다. 이를 가장 크게 드러내는 부분은 캔틸레버 지붕과 거대한 구조물의 양감을 세밀한 선으로 분절하는 두 개의 입면에 있다. 이에, 상징적인 두 입면의 원형을 대부분 보존하는 것은 기존의 대지가 가졌던 분위기를 이끌어나가는 방향으로 생각된다. 한편, 김수근 건축가는 이데올로기를 대변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과는 상관없이 자유센터 건물을 매우 과장된 스케일로 설계하였는데, 새 장소로 거듭나기 위한 기능적 공간 부여를 위해 남겨둔 입면과 기둥을 제외하고 벽체를 재구성하여 기존의 대공간에 여러 변주를 줌으로써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
자유센터를 포함한 초기의 마스터플랜은 중앙의 직선 축을 중심으로 회의장, 광장, 자유센터, 다시한번 광장 그리고 현재의 반얀트리 호텔로 이어지는 계획이었으나 부분적으로 실행되었다. 이 Axis 는 여전히 자유센터 배치의 핵심이기 때문에 마스터플랜에 활용하여 두 입면이 가지는 각각의 광장을 연결하고, 축을 따라 이어진 길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공간이 파생하는 개념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활용방안으로써, 자유센터의 본관에서 하나의 진입 레벨인 3층부터 5층까지는 예술가 및 관련 종사자들이 공연 및 사업을 기획하고 생산할 수 있는 창작지원센터를 배치하고 1,2층을 전시관 및 공연장으로 계획하여 창작지원 센터에서 생산된 문화예술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다. 또한 현재 광장은 주차장으로만 활용되고 있으나 광장에 다양한 전시 및 문화 공간을 배치하여 거대한 자유센터 건물의 스케일을 조절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보다 현 자유센터와 대지를 적극 경험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하를 증축하여 자유센터의 본관과 광장의 전시 및 문화 공간을 연결하는 플랫폼을 통해 대지와 건물을 일체화 시키고자 했다.
알바로시자는 시간흐름을 거스르거나 파괴하지않고 중첩하면서 대지를 변화시키도록 계획하는 것, 이미 그곳에 있는 대지와 조화를 이루어 향상되는 것을 이야기 한다. 성급한 소비적건축이 아닌 유연성을 가지는 건축의 재탄생을 차분히 고려할때,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는 가치를 찾을수 있다고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