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자유센터의 미래는? What does future have in store for the Freedom Center?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 심사위원회 심사평
60년의 세월이 흐르며 구시대의 유물처럼 잊혀지고 퇴색돼 버린 자유센터 본관에 대해 건축의 유산적 가치 재고와 함께, 앞으로의 60년을 위한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참여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제안해 달라는 것이 올해 「2024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주제였다.
60년 세월 동안 변화된 이념과 가치에 대한 해석, 압도할 만한 본관의 공간적, 조형적 어휘에 대한 재해석, 남산과 한양도성 훼손에 대한 이해와 판단, 그리고 미완의 결과로 황량하게 남아 주차장으로만 이용되는 광활한 주변부에 대한 고민 등, 숙제 거리가 산적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경연으로 많은 시사점을 발굴할 기회가 되어 매우 의미 있는 기회였다. 다만, 다중적인 여러 고민거리로 인해 정작 자유센터 본관이라는 중심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구상보다는, 부지 활용과 새로운 기능의 부여 등 표피적인 첨삭에 매달린 작품 또한 적지 않은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본인만의 고유한 해법으로 건축적 가치를 유효히 드러낸 작품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살펴보게 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대상작품으로 선정된 「자유센터, 기억의 안식처로서 새로운 가치」는 자유센터 본관의 건축공간과 조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독특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 본관에 대한 감각적 직관, 그에 바탕한 국립호국원이라는 프로그램의 삽입, 그리고 북측 주차공간의 대지고저차를 적극 활용한 현대적 건축물 조성에 있어 건축유산인 자유센터본관의 존중과 더불어 시간 간격을 가진 두 시설 간의 대비적 관계를 적절히 잘 드러낸 수작이었다.
또 다른 대상작품인 「서울 영화 공원 : 잔존하는 자유센터」는 유물로만의 자유센터를 일방적으로 존중만 하는 대신, 램프와 브리지 등 현대적인 건축어휘를 적극 개입시키되, 그동안 견지해온 본관의 건축적 가치와 유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심히 다룬 작품으로 평가했다. 최우수작품인 「남산문화센터」는 새롭게 조성한 광장 사이에 본관과 마주해 본관의 열주 기둥과 그를 현대적으로 오마쥬한 전시관 파사드의 대비 효과가 흥미롭고, 민평통의 사무처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등을 통해 60년전 완성되지 못한 단지의 완결성을 세심하고, 정교하게 부가한 수작이었다. 그 외 우수작과 가작, 입선 등의 작품들도 자기 해석과 구상, 그리고 그를 디자인한 결과에 대해서는 이에 견줄 수 있는 수작들이 많았지만,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입선
프리스트 남산
FreeSt. Namsan
심원태 이영주 양창석
◆ 작품개요
1964년, 자유센터를 건립하였을 당시의 화두는 ‘자유’ 였다. 냉전 상태가 종결되고 건립 이유마저 사라진 지금,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능성은 어디에 있는가? 우리는 미래의 자유센터의 화두를 ‘자유와 예술’로 보고 자유센터의 새로운 가능성을 ‘자유와 예술의 결합’에서 찾았다. ‘프리스트 남산’은 예술가들의 자유로운 예술 활동을 돕고 자유센터에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한다. 자유센터의 미래에 있어서 세가지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로 현재 자유센터 건물의 구조와 처마구 조물, 로비 공간을 보존하고 그 곳에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둘째는 건축물을 수직으로 증축 하여 외부의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여 모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수립중인 남산문화벨트 계획을 지원하는 예술가들을 위한 거리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자유센터의 새로운 용도는 국립극장과 연계한 예술가들을 위한 창작지원, 교육 및 레지던시로 계획하였다. 또한 시민들이 자유로이 휴식하며 예술 창작 경험을 할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한다. 건물의 상징과도 같은 북측의 곡선형 필로티 공간을 원형 보존하고 예술가들 혹은 예술문화산업 창작자들을 위한 업무공간을 조성한다. 주차공간은 존치된 건물 하부로 옮겨지며, 스탠드 형식의 화계(花階) 공간을 조성하여 테라스 내부로 하여금 가변 벽체를 활용하여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주차장에서부터 업무공간, 그리고 가변형 테라스 공간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간결한 동선과 효율적인 공간을 구성하였다. 자유센터의 로비(3층)는 일부 원형 보존되어 과거의 장소성을 계속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고, 로비의 양 옆에는 전시공간을 조성하여 과거의 건축물 흔적을 아카이빙한다. 4층은 예술가들을 위한 레지던시 공간으로 구성한다. 레지던시 공간은 예술가들이 단기로 생활하는 공간으로서, 거주를 통해 자유로운 예술창작활동을 하도록 돕는다. ‘ㅁ자형’의 중정을 갖는 주거공간을 배치하고 중심부에는 거주자들을 위한 전시공간을 조성한다. 대지의 향과 조망이 좋은 남동측에 레지던시를 구성하고, 상대적으로 불리한 서측에는 부대시설을 배치한다.
마지막으로 대지 북측에는 예술가들을 위한 교육시설을 배치한다. 이곳에서는 예술 창작 활동을 익히고 시민들이 예술활동을 경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신축 건물은 용도별로 파편화되어 배치되고, 경사지를 따라 지형에 최대한 순응하도록 계획한다. 그라운드 레벨과 조화를 이루도록 단차 계획을 하며 지하층과 선큰 계획을 적극적으로 하여 건폐율의 상승을 최소화한다. 이 계획안을 통해 자유성과 예술성을 담아내는 거리인 ‘프리스트:Freest.’ 남산을 자유센터에 새롭게 조성하고, 더 나아가서 자유센터 일대를 예술 문화 거점공간으로서의 정체성을 깊게 뿌리내리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