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 남산 힐튼호텔, 모두를 위한 가치 Namsan Hilton Hotel, Value for Everyone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심사총평 : 남산 힐튼호텔, 보존과 활용의 지혜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과 (사)새건축사협의회는 “남산 힐튼호텔, 모두를 위한 가치”를 주제로 2022 근대도시건축공모전을 개최하였다. 올해의 주제는 근대가 아닌 현대건축의 유산을 대상으로 하며, 그 대상이 한국현대건축의 중요한 유산임에도 불구하고, 곧 철거 재개발의 위기에 놓여있다는 상황이 이전의 공모전들과 구별된다. 현대의 ’건축자산’은 원형의 보존보다는 가치 있는 부분을 보존하면서 새로운 가치와 활용을 모색한다는 적극적인 개념을 포함한다. 공모는 참가자들에게서 ‘보존과 활용’ 사이에 집단의 지혜를 구하고자 함이다. 결과적으로는 우열을 가리지만 경쟁보다는 참여의 의미가 더 크다. 참가자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관점의 창조적인 해법들은 남산 힐튼호텔의 보존을 위한 도시건축분야의 노력에 중요한 기반이 되어줄 것이다. 공모전에는 216팀이 참여하여, 최종 108팀이 제출하였다. 심사위원회는 이틀간의 면밀한 심사과정을 통해 대상 2점, 특별상 1점, 우수상 2점, 특선 8점, 입선 17점을 포함 총 30작품을 선정하였다. 심사 초기 단계에는 토론과 투표를 통해 다수표를 우선해 작품을 선정했다. 한편, 소수의 표를 받았거나 표를 받지 못한 경우에도 리뷰 과정을 통해 상위 입상작으로 올리기도 하고, 반대로 무난한 특성으로 인해 다수표를 받은 경우를 재평가해 순위를 내리기도 하였다. 상위작의 심사는 충분한 토론을 통해, 만장일치에 이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대상1(문화재청장상) ‘남산 힐튼스퀘어 8322‘은 기존 힐튼호텔과 아트리움을 보존하면서 과제의 복합적인 요구를 높은 수준의 성취로 완성했다. 굴절을 이루며 호텔과 나란히 배치된 주동은 밀도의 문제를 포함한 도시적, 건축적, 프로그램적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한다. 대상2(국토부장관상) ‘힐튼호텔, 맞댐의 관계‘는 서울역에서 양동지구와 남산을 흐름을 잇는 가장 강력한 해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축을 따라 공공공간의 프로그램을 조경적 또는 건축적 해법을 통해 섬세하게 구현하고 있다. 남대문경찰서의 이전은 의미 있는 제안이다. 특별상 ’시대교감 ; 과거를 나누고 현재를 더하다.‘는 보존과 활용에서 기존 힐튼호텔의 건축 요소를 해체하고 재구성 하는 건축적인 해법에 집중했다. 기존 호텔의 주동은 디테일을 단순화 해 골조프레임만 드러낸 반면, 저층부에서는 수직 멀리온을 반복적으로 노출한 풍부해진 디테일을 통해 기존 호텔의 외관의 이미지를 변형하고, 확장한다. 우수상1 ’힐튼 스퀘어‘는 높은 레벨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슈퍼스트럭쳐 플랫폼을 제안한다. 힐튼과 서울스퀘어를 통합하는 플랫폼은 상부에 새로운 지구광장을 탄생시키고, 하부의 기존 도시조직이 보존된다. 우수상2 ’인사이드 아웃‘은 주동 날개에 매쓰를 더해 밀도를 높이는 대신 아트리움을 기둥과 계단만 남기고 외부화해 오히려 지구내부의 질 높은 외부공간이 확장되는 일종의 역설을 보여준다. 특선 8개 작품들 중에는 상위 수상작의 수준의 작업들이 여럿 있었는데 상 숫자의 제한과 유형들을 안배하는 과정에서 특선에 머무르게 되었다. 특히, ’철과 얼굴-도시유산을 보존하는 방법‘은 밀도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과 저층부, 외곽의 랜드스케이프와 수직동선에 이르기 까지 설득력 있는 형태언어를 보여주어 심사위원들이 주목한 작업이다.
남산 힐튼호텔과 양동정비지구를 포함하는 공모전의 범위와 주제는 도시와 건축, 프로그램의 해석과 제안, 힐튼호텔의 건축언어의 분석과 재해석 등에 이르기 까지 수준 높은 역량이 요구 된다. 일부 제안들은 탁월한 아이디어임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여건으로 인해 완성도에서 아쉬운 경우가 있었다. 평가를 바탕으로 보완 작업을 거친다면 좋은 작업으로 정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산 힐튼호텔의 보존과 활용 사이, 지혜를 구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제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참가자 여러분들에게 감사와 경의를 보낸다.
심사위원장 조 남 호
특선
MILLENNIUM HEAL - TURN
건물도 사람도 기억도 회복되는 공간
한지훈 | 박민서 | 이채영
◆ 작품 개요
행복했던 추억과 그 때의 분위기를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라는 질문에 대부분은 어린 시절 자신이 경험했던 기억을 회상한다. 우리에게 기억은 추억이 되고, 살아가는 원동력이 되며, 올바른 판단을 하기위한 근거가 된다. 마르틴 하이데거는 ‘공간은 자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인간이 존재하는 한 이해할 수 있다.’ 라고 말했다. 차가운 물성을 가진 건축물에 인간의 숨결이 더해지고 기억이 축조되며 건축물은 생명력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기억’은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범주에서 큰 가치를 가진다. 하지만 자본의 가치가 본질이 되어가는 요즘, 기억의 배경인 공간 마저도 경제적 가치에 치우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의 대상지 또한 도시와 건물이 내포한 기억의 가치가 여전히 존재하지만 인지되지 못한 채 경제적 가치에 밀려 철거될 위기에 놓여있다.
본 프로젝트는 단순히 건물의 가치를 상승 시키는 것이 아닌, 힐튼이 갖고 있는 건축적 가치, 문화적 가치를 보전하고, 양동이 갖고 있는 기억을 형상하여, 그것들을 연결하는 도시적 관점의 프로젝트라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고, 나아가 미래에도 모두의 가치를 위한 곳으로 이 공간이 존재하기를 바란다.
합리적인 호텔에서 자연과 치유 속의 어린이 병원으로
힐튼호텔의 객실층은 SRC구조와 합리적인 모듈체계로 설계되었다. 미스의
모듈을 한국 정서에 맞추어 호텔 타입으로 풀어낸 공간이다. 이 공간을 활용하여 미래 어린이들을 위한 치유의 병원을 구상하였다. 어린이의 신체발달과 행동범위를 고려하여 층별로 연령대를 나누어 배치하였고, 즐겁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치유될 수 있는 병원이 될 것이다. 최상부층에는 놀이공간과 더불어 장기치료 어린이를 위한 교육 공간도 마련하였다.
상류문화의 시작점에서 모두를 위한 미래 문화공간으로
힐튼호텔의 하부층은 수영장, 공연장, 카페, 베이커리, 아트리움 등의 공간이 있다. 지어질 당시 시대 상황을 고려하면 상류문화를 접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었을 것이다. 그 때의 기억과 경험을 보전하여 모두를 위한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고자 한다. 이 공간은 어린이 병원과 더불어 시민들의 치유의 공간이 될 것이다.
음지 속의 쪽방촌에서 빛과 기억이 중첩되는 마을로
양동은 과거부터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한국전쟁 후 쪽방촌이 형성되었으며, 빛이 잘 드는 동네라 양동이라 이름 지어졌다. 1970~80년대 대우빌딩과 힐튼호텔이 지어졌고 쪽방촌과 건물들은 함께 공존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양동은 고층빌딩으로 쌓여버렸다. 햇빛이 사라지고 건물들은 모두 도심을 바라보며 놓여졌다.
빛을 잃은 양동 쪽방촌에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빛과 기억을 쌓아가고자 한다. 쪽방촌과 닮은 다이나믹한 공간에서 이용자들은 새로운 경험을 할 것이다.
각각의 특성을 가진 ‘PATH’와 동선이 만나는 곳의 ‘NODE’
서울역에서 바라본 힐튼은 시각적, 동선적으로 단절 되어있다. 서울도심에서 양동으로 들어오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지만 높은 경사와 건물들에 막혀 힐튼호텔까지는 연결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진행해 보았다.
1. 양동으로 진입하는 원래의 길들의 특성을 살리며 힐튼호텔까지 연결시킨다.
2. 쪽방촌 부지의 땅을 들어올려 서울역에서의 시각적 존재감을 상승시킨다.
3. 올라간 대지를 중심으로 상부 산책로와 하부 산책로를 만들어 힐튼과 연결한다.(PATH)
4. 자연과 산책로, 진입 동선이 만나는 곳에 특성을 살린 ‘NODE’를 배치한다.
힐튼호텔이 갖고 있는 건축적, 문화적 가치를 보존 및 보전하고 주변 지역의 컨디션을 향상시켜 양동마을 전체가 힐튼과 더불어 기억의 배경으로서 미래의 가치를 이어 나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