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전 주제
‘청주시청사 활용방안‘
2012년 주민투표를 거쳐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이 결정되고 2014년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였다. 1896년 충청도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분리되었고, 1908년에 충주에 두었던 충청북도의 관찰부가 청주로 이전되면서 청주는 명실상부한 충청북도 제1의 도시가 되었다. 2014년 이후 꾸준히 성장한 청주시는 인구 100만에 가까운 도시가 되었다.
청주시의 성장사는 우리나라 근현대사와 맥을 같이해 왔다. 특히, 1960년대 경제성장기에 지어진 구청주시청사는 해방 이후 지역 행정의 중심지이자 보릿고개를 넘어 경제도약을 꿈꾸는 시민들의 여망과 실천이 담긴 곳이었다. 청주시는 충청북도에서는 처음으로 민간 건축전문가 제도를 도입하였고, 2020년에는 총괄건축가 제도를 도입하여 청주의 공공건축과 도시환경을 개선해오고 있다.
2020년 7월에는 오랜 준비를 거쳐 청주시청 새 청사 국제공모를 실시하여 ‘ㄷ자’ 형태로 청주시청 본관동을 감싸안는 듯한 노르웨이 건축가 스노헤타의 안을 선정, 새 청사 건립을 추진해 왔다. 당시 청주시청 새 청사 국제공모는 구시청사를 보존하면서 청주의 미래 비전을 담아내는 국제공모전으로 공모전의 준비에서 진행 그리고 결과에 이르기까지 국내 건축계의 주목을 받았다. 건축계에서는 구시청사가 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의 역사와 청주시민의 삶 그리고 건축사적 가치의 빼어남에 주목했고, 지역사회와 문화재청은 새 청사를 짓더라도 청주시의 성장사를 온전하게 담고 있는 구시청사의 보존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이다. 노르웨이 건축가 스노헤타의 당선안은 청주시민의 여망을 훌륭하게 담아냈고, 시는 100억에 가까운 설계비를 지급하며 설계를 마무리해 가고 있었다.
그러나 새 시장의 당선으로 상황은 비관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정치권의 지형변화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삶은 지속되어야 하는데 새 시장은 당선된 후 청주시청 본관동이 왜색이 짙다는 이유로 설계가 마무리된 현상설계 당선안을 백지화하고 새로운 공모를 통해 구시청사를 철거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청주시민은 물론 각계의 전문가와 문화재청에서도 청주시청사 본관동은 청주시와 청주시민의 삶과 현대사를 담고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아 문화재 등록을 권고했지만, 새 시장의 철거 의지는 바뀌지 않고 있다.
2022년 6.1지방선거 이후 본관을 철거하겠다는 새 시장과 시민의 삶과 역사가 담긴 시청사를 보존해야 한다는 시민사회와 전문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첨예하게 맞붙었다. 현실은 불행히도 강력한 행정력을 가진 시장의 의지가 관철될 순간에 직면해 있다.
구청주시청사 보존을 위해 청주시민과 각계 전문가와 뜻과 행동을 함께 해왔던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은 2023년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의 대상지로 ‘청주시청사’를 선정했다.
그동안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철거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정치적 판단에 의해 철거된 조선총독부 본관과 옛 서울시청의 훼손 등 역사유산의 주인인 시민사회와의 대화와 논의를 거치지 않은 정치적 결정에 의한 철거는 건축물의 보존이 단순히 건물의 물리적 상태 유지 이상의 의미가 있음을 전문가들이 동시대를 함께하는 시민들과 어떻게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아가야 할 것인가라는 과제를 남겨주었다.
구청주시청사뿐 아니라 청주시청사가 위치한 곳은 청주 도시구조의 핵심으로서 청주 근현대사를 같이한 모든 이의 삶이 담긴 기억의 장소이며, 이와같은 건축과 장소는 우리가 사는 도시 곳곳에 산재해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또 다른 과제, 구청주시청사는 기존의 해법을 넘어서는 또 다른 과제를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
모두가 주목했고,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것 같았던 설계공모 당선안이 조만간 이뤄질 구청주시청사의 철거와 함께 사라질 운명을 맞이한 시점에서 구청주시청사를 2023년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대상지로 삼은 것은 구청주시청사의 보존에 이구동성으로 뜻을 모았던 시민사회와 행정, 그들의 뜻에 적극 호응했던 국내외 건축가들과 그들의 작업, 철거에 직면하면서도 시민의 삶의 현장을 지키고자 노력했던 지난 시간과 노력이 쉽게 잊혀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와 같은 사례는 언제든지 다시 반복될 수 있고, 어쩌면 전국적으로 도미노 현상을 불러올지도 모른다. 개발의 시대를 넘어 오늘을 사는 건축가라면 보존과 철거의 현장에서 끊임없이 공존의 해법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을 맞닥뜨리게 된다.
공모전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건축을 업으로 삼는 분들은 ‘구청주시청사’의 보존과 철거에 대한 가치 판단과 논쟁의 전개과정을 살펴보며, 건축가가 무엇을 놓쳤고, 우리가 무엇을 더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결과를 제시해주기 바란다.
시청이라는 공공업무공간의 한계를 넘어 자유로운 용도와 기능을 추가 제안할 수도 있다. 옛 본관동을 보존하는 태도와 새로운 건축이 만나는 방법을 통하여 응모자의 철학이 드러나면 더욱 좋을 것이다. 제한된 용도를 넘어 창의적인 쓰임과 해법을 제안함으로써, 기성세대가 제출하였던 공모안들과 보존을 위한 노력의 한계를 뛰어넘기를 기대한다.
■ 공모전 개요 및 일정 등
입선
더 뉴 웨이브
The New Wave
김동원 ㅣ 김원영 ㅣ 한석진
◆ 작품 개요
청주 도심과 구(舊) 청주시 청사에 대한 고찰
더 뉴 웨이브의 설계 방향은 청주의 도시구조와 구청사의 가치 그리고 그 역할의 해석에서 시작한다. 청주 구도심은 상당로와 중앙로라는, 남북 방향의 두 가로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외적으로 상당로는 근대 철로에서 시작해 청주 도시 전체를 연결하는 중요한 간선도로로서 청주의 주요 지점과 인근 도시로 이동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내적으로 중앙로는 성안로에서 출발하며 다양한 상업문화 콘텐츠를 담고 있는 청주의 주요 보행로로 기능한다. 구청사는 이러한 주요 가로를 동서에 마주하며 도심 중앙에 위치한 장방형의 부지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다.
구(舊) 청주시청사는 다양한 근대건축양식의 가치를 지닌 건축적 자산이다. 이점에 주목하여 더 뉴 웨이브는 구청사 보존이 다양한 역사 유산의 구심점으로 작동할 가능성을 보았다. 또한 청사였던 역사적 정체성을 반영해 현 시청을 메인 프로그램으로 하여 구청사에 ‘플랫폼’이라는 역할을 부여하였다. 즉 구청사는 중요한 두 가로, 그리고 문화와 시정(市政)의 연결을 위한 입체 플랫폼으로 거듭나게 된다.
남북과 동서의 입체 플랫폼
구청사의 플랫폼으로서 역할은 두 가로에서 출발한다. 구청사의 남측으로는 중앙로 및 역사공원으로 이어지는 광장, 북측으로는 신(新)청사가 배치된다. 두 가로에 배치되는 어반월(Urban Wall)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담아 도시적 연속성을 보존한다. 또한 어반월은 새로 조성된 광장과 시청의 프로그램이 자연스레 연결되도록 한다. 구청사와 신청사 사이에는 시청의 대강당을 문화공간으로 확대하여 양방의 사용이 가능한 공간을 구성한다. 이를 통해 구청사는 두 가로를 연결하는 통로이자 문화공간의 Foyer로서 작동할 수 있다.
신(新)청사의 Ἀγορά (아고라, agora)
플랫폼으로 거듭난 구청사는 대강당의 옥상과 맞물려 시청의 새로운 마당을 형성한다. 구청사와 어반월을 통해 전이되는 마당에는 통합민원실과 의회 대회의실이 구성된다. 이를 통해 청주시민은 다층적 문화와 시정 활동을 복합적으로 경험하며 청주시청은 시민의 품에 안기는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